국내 백신 프로그램 절반은 '불량'

입력 2013-01-15 14:2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41%는 악성코드 탐지·치료능력 전무…사용자 주의 요구

국내에서 유통되는 백신프로그램 10개 가운데 절반은 불량제품인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는 15일 “한국인터넷진흥원과 함께 지난해 국내에서 제작·유통된 백신 프로그램 168종(유료 143종, 무료 25종)을 대상으로 성능시험을 한 결과, 조사대상의 41.6%인 70종이 악성코드 탐지·치료 기능이 전혀 없는 불량 백신으로 조사됐다”고 15일 밝혔다.

또 6종(3.6%)은 1000개 미만의 악성코드만 탐지·치료가 가능해 시중에 유통되는 백신 가운데 절반가량이 불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70종은 방통위가 실험대상으로 진행한 3000개의 악성코드 샘플 중 단 한개도 찾아내지 못했다.

아울러 정상환경에서 정상 파일을 악성코드로 잘못 인식하는 오탐제품도 31종(18.5%)에 달했으며 서비스 중단, 설치오류, 실행오류로 아예 조사 진행이 불가능한 제품도 29종(17.3%)에 이르렀다.

이에 반해 실험에 사용된 3000개의 신규 악성코드 샘플 가운데 3분의 2 이상을 탐지·치료한 프로그램은 33.9%로 전년(31.2%)대비 2.7%포인트 상승했다. 또 백신 프로그램의 필수 항목인 자동 업데이트 기능 보유 비율과 실시간 탐지 기능을 갖춘 제품 비율은 각각 57.7%와 31%로 전년(45.0%, 26.7%)보다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이용자 민원의 경우 1372 소비자 상담센터에 접수된 백신 관련 상담건수가 지난 2010년(612건)을 정점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수 백신 프로그램으로 △내주치의 닥터(KT) △네이버 백신(NHN) △노애드2+(미라지웍스) △바이러스체이서 8.0(SGA) △바이로봇 인터넷 시큐리티 2011(하우리) △알약(이스트소프트) △B인터넷클린(SK브로드밴드) △nProtect AVS 3.0(잉카인터넷) △U+ 인터넷 V3(LGU+) △V3 365 클리닉(안랩) △V3 Lite(안랩) 등 11제품이 선정됐다.

방통위 관계자는 “성능미달, 오탐, 미동의 설치 백신 80종에 대한 조사 결과를 해당 업체에 문서로 통보하고 개선 후 회신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