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는 민주화 운동을 경험한 마지막 세대라고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누구보다도 집안의 가장역할에 충실할 수밖에 없는 세대여서 머리는 진보지만 몸은 보수일 수밖에 없는 특징을 가진 세대다. 또한 이들 세대는 전체 유권자 대비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세대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 세대를 주목할 수밖에 없었는데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50대가 오히려 가장 주목받는 세대로 등장했다. 물론 방송 3사의 공동 출구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추정치이기는 하나 이들 세대의 투표율이 무려 89.9%에 달했다. 더구나 이들 중 60% 이상이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를 지지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니까 우리나라 50대 10명중 9명이 투표했고 이들 중 상당수가 특정 후보를 지지했다는 말인데 이 수치는 정말 놀랍다.
이 정도로 50대가 투표장으로 몰려간 이유는 뭘까. 일부는 50대가 안보에 대한 불안감을 느껴 폭발적인 투표 행태를 보였다고 주장하지만 이 주장에는 동의할 수 없다. 50대가 유난히 안보와 이념에 민감한 세대라면 몰라도 이들 세대들은 전두환 정권과 박정희 정권을 겪어본 이들이어서 정서적으로 40대와 비슷하면 비슷했지 60대와는 사뭇 다른 멘탈리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만일 안보에 대한 불안감을 느꼈다면 50대말고도 다른 세대들도 투표장에 몰려갔어야 옳다.
또한 가치 투표를 위해 특정 단일 세대가 이렇듯 투표장에 몰려갔다는 말은 들어본 적이 없다. 그렇다면 다른 원인이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렇게 특정 세대의 투표율이 치솟고 절반 이상이 특정 후보를 지지하는 현상의 기저에는 이들 세대가 공통적으로 느끼고 있는 감정적 원인이 존재하기 마련이다. 그래서 어떤 감정적 요소가 역할을 했는지 알기 위해서 이번 선거 과정을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이번 선거에서 민주통합당은 이른바 세대 분리 전략을 썼다. 그러니까 2030세대를 중심으로 한 전략을 구사하고 이들 세대들이 투표에 참여하도록 하는데 주로 신경을 썼다. 그래서 선거 전략 수단도 이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SNS를 활용했다. 여기서 50대들의 공통적 소외감이 발생했다는 생각이다.
이들은 민주당의 2030세대 집중 공략 전략으로 소외감을 갖기 시작했고 SNS라는 수단으로부터는 디지털 소외감을 갖게 됐다. 이런 종류의 소외감은 50대들이 느껴야 했던 기존의 사회적 소외와 맞물려 더욱 증폭됐다. 여기서 말하는 사회적 소외란 이들 50대들이 아직도 능력과 힘이 있음에도 직장에서 퇴출되거나 한물간 집단으로 매도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의 이런 집단적 심리를 이해하지 못하면 마치 이들이 안보에 불안해서라든가 아니면 성장 지상주의에 세뇌되어 집단적으로 투표했다는 식의 황당한 주장이 나오게 된다. 결론적으로 민주당은 이들 세대들의 소외감을 자극해서 이들을 폭발하게 만들었다는 생각이다.
반면 새누리당은 오히려 이들을 감싸는 전략을 구사했다. 물론 새누리당의 이런 전략은 이들 세대가 자신들의 전통적 지지층의 일부라는 데서 연유한 것도 있지만 이번 선거에서 새누리당은 전반적으로 배제 전략을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바로 이런 이유에서 50대들은 집단적으로 투표장에 나갔고 박정희 시대를 경험했음에도 60%이상이 박근혜를 선택했다.
50대의 이런 폭발적 투표는 민주당 문재인 후보 측의 배제 전략에 대한 분노의 표현이었다고 보는 것이 옳다. 다른 말로 표현하면 이들 50대는 박근혜 후보를 폭발적으로 지지해서 투표했다기보다는 민주당의 친노무현계가 박근혜보다 더 싫기 때문에 선택했다고 할 수 있다는 말이다.
이런 상황은 75.8%라는 경이적 투표율에도 불구하고 문재인 후보가 패배하게 된 결정적 원인을 제공했다고 볼 수 있다. 분노는 기존의 상식을 무너뜨릴 수 있음을 이번 선거에서 배워야 한다. 그렇기에 민주당은 앞으로의 선거에서 이기려면 자신의 지지층만 바라보는 전략은 접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또 다른 유권자의 분노를 살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