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얄팍해진 지갑에...' 총저축률 30년만에 최저

입력 2012-12-12 13:5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개인부문 저축 하락세 뚜렷

국민소득 정체와 경기침체 여파로 우리나라 총저축률이 3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12일 한국은행과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총저축률(원계열 기준)은 3분기 기준 30.4%로 1982년 3분기(27.9%) 이래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환산할 경우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3분기(30.42%)보다 0.01% 더 악화된 수치다. 계절조정 기준으로 봐도 총저축률은 올해 3분기 30.1%로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2분기(29.7%) 이후 가장 낮다.

총저축률은 총저축(개인·기업·정부 저축의 합)을 국민 총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값이다. 총저축률이 낮아지면 국내 투자자금 조달과 경기변동 대응이 어려워진다.

우리나라의 3분기 총저축률은 올림픽 특수를 누렸던 1988년 41.5%로 통계작성 이래 최고치를 기록하다 이듬해인 1989년 38.1%로 내려앉은 뒤 외환위기 직전인 1996년 36.5%까지 떨어졌다.

이어 카드대란 발생 직전인 2002년에는 30.5%, 글로벌 금융위기 2008년 30.4%를 기록했으며 이후 소폭 오르내림을 반복하다 20%대 하향을 눈앞에 둔 양상이다.

이러한 저축률 하락은 가계소득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저축여력이 줄어들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연평균 가계소득 증가율은 1980년대 17.0%, 1990년대 11.9%, 2000년대 5.9% 등으로 떨어졌다. 3분기 국민처분가능소득(원계열)은 전년동기 대비 2.5% 늘어나는 데 그쳐 2009년 2분기(1.7%)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계절조정 기준으로는 전기에 비해 -0.3% 감소해 2008년 4분기(-1.5%) 이후 첫 감소세를 기록했다. 이밖에 저금리 기조가 지속하고 신용카드 사용이 늘어난 점도 주효했다.

이에 따라 개인저축률은 꾸준히 하향곡선을 그렸다. 총저축률이 최고치였던 1988년 개인저축률은 18.7%를 나타냈지만 1991년(18.5%)부터 하향세를 보이며 2011년에는 4.3%까지 떨어졌다. 총저축률에서 개인 저축률이 차지하는 비율도 1988년 46.2%에서 지난해 13.5%까지 곤두박질쳤다.

재정부 관계자는 "저축 주체인 개인부문의 저축률 하락은 장기적으로 총저축률 하락 등으로 이어져 경제전반의 투자 여력이 감소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전문가들도 낮은 개인 저축률은 가계의 금융자산 축소, 부채 증가 등으로 가계의 위기 대응능력을 약화시켜 미래 성장률을 잠식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