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안철수, TV토론서 공수 주고받으며 ‘치열한 신경전’

입력 2012-11-22 11:3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의원 정수, 재벌개혁 방안, 금강산 재개 등 이견 노출

민주통합당 문재인·무소속 안철수 후보는 21일 밤 실시된 TV토론에서 서로 자신이 야권 단일후보로서 적임자 임을 내세우며 치열한 신경전을 벌였다. ‘경쟁적 협력관계’를 염두에 둔 두 후보는 상대방에 대한 직접적 비난은 삼갔지만 △정치 △경제 △사회복지노동 △외교통일안보 등 거의 모든 분야에서 이견을 드러내며 긴장된 분위기를 연출했다.

◇단일화 = 두 후보는 단일화 룰 협상 파행 책임을 놓고 초반부터 신경전을 벌였다. 문 후보가 “(안 후보 측) 협상팀이 처음 주장만 되풀이하고 있는데 물어보면 재량이 없다고 해 갑갑하다”고 포문을 열었고, 안 후보는 “우리가 물러나지 않았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받아쳤다. 문 후보는 다시 “안 후보가 협상팀으로부터 상황을 제대로 보고받지 못하고 있는 것 아닌가”라고 되받았다.

◇정치·통일외교 = 양측은 ‘새정치공동선언’에서 합의한 의원정수 조정 해석을 놓고 현격한 시각차를 보였다. 문 후보는 기존 입장인 ‘지역구-비례대표 의석조정’을 강조했고, 안 후보는 ‘정수 축소’로 맞섰다.

또 문 후보가 금강산 관광의 조건없는 재개를 주장하자 안 후보는 북측의 재발방지 약속 선행을 강조했다. 그러자 문 후보는 안 후보에게“남북관계 개선에 있어 조건을 내거는 것은 이명박 정부와 다를 바 없다”고 쏘아붙였다.

◇경제 = 안 후보는 경제 부문에서 노무현 정부 책임론을 꺼내 들며 반격에 나섰다. 안 후보는 “문 후보가 청와대 민정수석 재임 기간 법인세를 2% 포인트 인하했고 2007년 출자총액제한제가 유명무실해졌다”고 지적했다.

대기업의 순환출자 금지를 비롯한 재벌개혁 정책에서도 입장차를 드러냈다. 문 후보가 “기존 출자분을 규제하지 않고 어떻게 재벌개혁을 할 수 있느냐”고 공격하자 안 후보는 “경제민주화는 수단이지 그 자체가 목적이 돼선 안 된다”고 반박했다.

안 후보는 최장집 고려대 교수가 참여정부에서 집권엘리트와 경제관료, 삼성그룹 간 결합으로 개혁공간이 축소됐다고 지적한 점을 들어 “같은 인력 풀에서 경제민주화가 잘 실행될 수 있을지 설명을 부탁드린다”고 날을 세웠다.

이에 문 후보는 “참여정부 때 경제민주화를 제대로 못해 양극화가 심해지고 비정규직 문제가 많이 생긴 것은 한계라는 점을 인정해야 할 것”이라면서도 “그 시기에 경제민주화를 주장하면 좌파라는 소리를 들었을 때였고 지금은 국민이 요구하는 바가 됐다”며 시대 상황이 변했음을 내세웠다.

순환출자 문제와 관련해 두 후보는 각을 세웠다. 문 후보는 안 후보가 공약으로 내놓은 ‘계열분리명령제’에 대해서도 “재벌해체라는 과격한 인상을 줄 수 있다”고 했고 안 후보는 “삼성전자가 빵집을 하지 말자, 이런 것들은 분리를 해도 국민의 동의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복지 =두 후보는 반값 등록금과 의료복지 정책에서도 이견을 드러냈다. 안 후보는 “문재인 후보가 노무현 정부 시절 청와대 시민사회수석을 지낼 때 국립대 등록금을 자율화해 했다. 이후 사립대 등록금이 폭등했다”고 공세를 폈다.

그러자 문 후보는 “참여정부의 책임이 있다. 반성한다”고 인정하면서도 “안 후보의 반값 등록금 계획은 (지원 금액 비율이) 느리다”고 역공을 펼쳤다.

의료복지 부문에서도 문 후보는 의료보험료 1년100만원 상한제를 주장하며 “안 후보는 찬성하지 않느냐”고 캐물었고 안 후보는 “목표에는 동의하지만 당장 실행하는 것은 힘들고 점진적으로 해야 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