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하성 고려대 경영대학원장이 무소속 안철수 대선 후보의 정책 네트워크에 합류한다.
장 교수는 정책 네트워크 포럼 ‘내일’의 경제 민주화 포럼을 구성하고 정책마련을 주도할 예정이다. 또 네트워크의 중추 역할을 맡으면서 앞으로 안 후보 캠프의 외교, 안보, 통일 분야를 제외한 정책 분야 전반을 주관하게 된다.
장 교수 보다 먼저 정책 네트워크에 합류한 홍종호 서울대 교수는 정책 네트워크의 혁신 포럼을 이끌면서 네트워크 실무를 총괄하는 역할을 맡을 예정이다.
안 후보는 27일 서울 공평동 캠프사무실에서 장 교수와 비공개 면담을 했다. 장 교수는 면담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제가 선택한 그리고 국민이 선택한 안 후보가 새로운 세상과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는데 조언하고 국민들이 바라는 우리 경제의 미래에 대해 의견을 모아 안 후보가 새 시대를 여는데 도움을 주려고 이 자리에 왔다”고 합류 이유를 밝혔다.
이어 “지금 이 시점이 새로운 시대로 가는 변곡점에 있다고 생각한다”며 “새로운 추진력을 가지고 세상을 변화 시킬수 있게 하려면 존경하고 따를 수 있는 리더를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해 안 후보를 돕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장 교수는 또 “제가 생각하는 경제민주화는 함께 잘사는 경제, 희망을 주는, 그래서 그 희망을 쫓을 수 있는 혁신의 경제, 모두가 공정하게 경쟁하고 공정하게 배분받는 경제”라며 “세 가지 목표실현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현재 우리의 발전과 성장을 억누르는 여러가지 문제를 개혁하고 한국경제의 주된 패러다임인 공정한 경쟁을 보장하기 위해, 그리고 양극화를 해소하기 위해 재벌개혁을 해야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재벌개혁은 어떤 방향으로 갈 것인가라는 질문에 “재벌이 여러 사업을 하고 계열사 갖고 있는게 경영효율을 높인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그렇다고 하더라도 이것이 곧 대한민국 경제를 효율적으로 한다고 보지는 않는다”고 답했다.
이어 “경쟁에 의한 효율을 내기 위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출발선에서 강자가 지배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시장적이고 산업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근본적으로는 경제가 정의로워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 “개처럼 벌어서 정승처럼 쓴다는 것은 안된다. 정의롭게 벌어서 정의롭게 써야하고 자본주의에서는 돈이 정의로워야 자본이 정의롭다”고 설명했다.
출자총액제한제도(출총제)나 순환출자 제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출총제는 이 자리에서 말하기 어려운 문제다”며 “특정 집단이나 특정 기업이 시장의 독점적인 장악력을 받지 않으면서도 환경을 어떻게 만들것인지, 산업적구조 또 경제구조와 기업내부의 지배구조가 맞물린 것으로 봐야해서 하나에 초점을 맞출 수 없다. 앞으로 의견 수렴하고 구체적인 사안 내놓겠다”고 말했다.
정책 네트워크참여자들 가운데 보수와 진보가 섞여 있어 정체성이 헷갈릴 수 있지 않느냐는 물음에는 “보수냐 진보냐하는것은 지향하는 가치나 이념으로 이것은 안철수만이 정하는 것이다”고 답했다.
그는 “과거 보수 지향했어도 정책이 혁신개혁에 도움이된다면 필요하다. 가치관이 다른데 단순한 기술적 이슈로 조직을 만들수는 없는 것이다”고 강조했다.
장 교수는 고려대 경영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 명문대인 뉴욕주립대얼바니 대학원 석사, 펜실베이니아대 대학원 경영학 박사를 거쳐 참여연대 경제민주화위원회 위원장, 한국증권거래소(현 한국거래소) 자문위원, 고려대 경영대 학장 등을 역임한 뒤 2005년 8월 고려대 경영전문대학원 원장으로 취임했다.
특히 장 교수는 한국기업지배구조개선펀드(장하성 펀드)를 통해 소액주주 보호와 기업지배구조 개선에 노력을 기울여왔다. 또 1990녀대 참여연대에서 경제민주화 위원장을 맡으며 재벌총수를 비판하며 재벌 저격수라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 삼성그룹 이건희 회장을 상대로 낸 소송에서 최근 승소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그는 “당시 부당거래 같은 것들을 최소화하고 돌려놓겠다고 했었다”며 “추구하는 것이 문제를 삼고 남을 못살게 구는것이냐 아니면 새로운 변화를 일으키고 변화의 단초가 되는 것이냐 하는 것이다. 그런 기조는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한편 안 후보 캠프는 향후 나오는 정책들을 로드맵을 통해 발표할 방침이다. 다음 달 7일에는 한국사회가 안고 있는 가중 중요한 변화를 위한 과제발표를 진행한다. 11월초까지는 전문가와 국민의견을 수렴하고 구체적으로 진화시켜 11월 10일께 해결방안을 종합적으로 발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