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호우 피해 최근 20년간 사례에서 배우자

입력 2012-06-20 07:58수정 2012-06-20 10:0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조석준 기상청장, 피해 기록 담은 ‘집중호우 Top10’ 발간

▲사진제공 기상청
조석준 기상청장은 여름철 집중호우의 원인분석과 피해상황, 강수량 기록 등을 담은 ‘최근 20년간 사례에서 배우다 - 집중호우 Top10’을 발간했다고 20일 밝혔다.

이 사례집은 1998년 지리산 일대에서 많은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를 냈던 호우사례부터 2011년 서울 우면산 집중호우까지 호우경보 수준을 넘어서는 총 10개의 사례를 분석해 집중호우의 위험성과 이해를 돕고자 제작됐다.

대표적 사례로 △백년만의 집중호우, 수도권 집중호우(2011년 7월26~28일) △부산을 물바다로 만든 남해안 집중호우(2009년 7월15~16일) △태풍 뒤에 또다시 이어진 경기 북부·강원도 영서 집중호우(2008년 7월24일) △제주도를 강타한 태풍 ‘나리’(2007년 9월15~17일) 등이 선정됐다.

집중호우는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비가 좁은 지역에 쏟아지는 돌발적인 기상현상으로 많은 인명피해와 홍수, 산사태, 저지대 침수 등의 재해를 유발하는 여름철 주요 위험기상현상이다.

집중호우는 야간과 새벽시간 등 방재취약시간에 특히 위험할 수 있다. 기후변화로 인해 향후 30년(2011~2040년)간의 강수량 예측자료(한국기후변화백서·2011)에서도 집중호우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조석준 기상청장은 “이번 사례집은 과거 집중호우 사례를 되짚어봄으로써 앞으로 언제 닥칠지 모르는 집중호우를 대비하는데 유익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