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내년부터 정보시스템 클라우드 본격 도입

입력 2012-04-30 16:5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오는 2013년부터 정부 중앙부처에서 정보시스템을 새로 만들거나 교체할 때에는 클라우드 신기술이 전면 적용된다. 클라우드 기술을 적용하면, 필요한 만큼만 IT자원을 할당하고 사용 후에 반납하는 구조로 개선돼 시스템 구축·운영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행정안전부는 이 같은 내용의 ‘범정부 클라우드컴퓨팅 추진 정보화전략 계획’을 수립하고, 30일 서필언 제1차관 주재로 결과 보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정부통합전산센터는 지난 2009년부터 47개 중앙부처의 IT자원 수요를 모아 고성능서버로 통합해 공동활용하는‘제1단계 정보자원 통합사업’을 추진해 왔다.

2011년도까지 개별 서버 1334대를 통합해 총 1023억원의 비용을 절감했고, 올해 660대 서버를 추가로 통합하면 510억원이 절감돼 연말에는 중앙부처 IT자원의 구축·운영비 30% 절감이 예상된다.

2013년부터 시작될 ‘제2단계 정보자원 통합’의 정보화전략계획에 따르면, 먼저 부처별 시스템을 저비용·고효율의 클라우드 인프라로 단계적으로 전환해, 2017년에 60%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각 부처 업무용SW의 체계적인 관리와 중소기업 개발자의 편의를 위해 모든 부처가 활용하는 응용SW 개발 및 테스트 환경을 제공하고, 스마트 오피스, 모바일 등을 위한 공통 플랫폼을 구축해 부처간 중복 개발을 방지하고 공동활용을 촉진한다.

전 부처 공통사용 SW는 클라우드 기술을 적용해 구축없이 접속만으로 사용하는 멀티테넌시(공동임차) 소프트웨어 서비스로 전환할 예정이다.

아울러, 클라우드 구축시 국산화가 가능한 범용서버를 도입하고 공개SW를 현재 20%에서 2017년 50%까지 확대 하는 등 민간 IT산업 활성화 및 중소·중견 기업 육성도 병행할 예정이다.

이날 보고회에 참석한 서필언 제1차관은 “모바일·스마트워크 등을 통해 근로환경 개선, 사회현안 해결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며 또한 “정부 클라우드 구축시 중견·중소기업이 함께 참여해 산업에 활력을 줄 수 있는 방안도 추진할 것”을 당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