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메트로 9호선’시민 볼모 안 돼

입력 2012-04-24 11:0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이상혁 정치경제부 기자

말 많고 탈 많던 9호선 요금인상 문제가 막바지로 치닫고 있지만 서울시와 메트로9호선간 의견대립이 여전히 만만치 않다.

일단, 요금인상 여부는 백지화되는 쪽으로 가닥이 잡히고 있다. 메트로9호선이 서울시와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요금 인상을 공지한 것에 대해 서울시민에게 사과의 뜻을 내비치며 한 수 접고 들어갔기 때문이다.

메트로9호선 정연국 사장은 23일 “오는 24일 주요 주주들이 임시 회동하는 자리에서 6월 16일로 공지한 요금 인상 날짜를 연기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며 “요금인상 시기를 연기하는 것이 결정되면 시민들에게 잘못된 내용을 알린 것에 대해 공식 사과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서울시의 강경방침과 부정적 여론 확산을 의식해 울며 겨자먹기로 택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주주들과 협상이 순탄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메트로9호선은 현대로템(25%)과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회사(24.53%), 신한은행(14.90%), 포스코ICT(10.19%) 등 13개사가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데 금융회사들이 재무 개선 차원에서 요금 인상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메트로9호선 주주협약에는 한 주주가 다른 주주의 이익에 손해를 입히는 결정을 하지 못하도록 한 조항이 있어 주주들 사이에 의견 합의가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국민 사과 없이는 어떠한 협상도 진행하지 않겠다”는 서울시와 “서울시가 안을 만들어 제시하고 협상시한을 밝힌다면 그에 따라 사과할 의향이 있다”며 조건부 사과 의지를 밝힌 메트로9호선.

이처럼 계속 양측이 자존심을 내세우다보면 시간 소모만 있을 뿐이다. 메트로9호선이 사과 의향을 밝힌 이상 서울시도 내달 9일 열리는 청문회에서 사장 해임이 아닌 ‘사태 수습’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메트로9호선 또한 청문회 참석을 피하려고만 할 게 아니라 보다 책임있는 자세로 임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불법행위가 명백하게 드러난다면 그에 마땅한 조치를 받으면 될 것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