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하성 부국장 겸 온라인뉴스부장
그럼에도 러시아 국민은 이번 대선을 통해 60%가 넘는 압도적 지지로 푸틴을 선택했을까? 그가 대선 공약으로 제시한 '강한 경제(Strong Economy) - 강한 러시아(Strong Russia)'를 기반으로 보다 강력한 경제 개혁조치들을 추진, 러시아를 재건해 달라는 국민적 요구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당선 소감을 통해 과거 초강대국 러시아의 위상을 되찾기 위해 경제 발전과 군사력 강화를 주요 공약으로 내세웠다. 2020년까지 국방비 7900억달러를 투입해 군사강국으로 복귀하고 매년 6∼7% 경제성장을 통해 현재 세계 11위인 러시아 경제를 세계 5위로 끌어올려 옛 명성을 되찾겠다는 야심을 드러냈다.
당장 5월부터 푸틴의 임기가 시작되면 동북아 정세에 적지 않은 변화가 예상된다.
6자 회담의 핵심인 북한 핵문제와 관련 푸틴은 “북한의 핵보유국 지위를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도 “북한 새 지도자의 능력을 시험하다가는 무분별한 대응을 유발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북한의 핵 포기를 추진하되 대화가 아닌 방법을 동원해서는 안 된다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셈이다.
전문가들은 지난달 미국과 북한이 비핵화 사전조치에 합의하고 푸틴이 재집권함으로써 6자회담 재개 여건이 호전될 수 있어 푸틴을 적극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특히 경제정책에는 큰 변화가 예상된다. 유럽재정위기로 러시아 경제는 직격탄을 맞고 있다.
실제로 러시아의 올해 예상 경제성장률은 3%대로 추락했다. 내년에는 2%대도 장담할수 없는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다. 열악한 경제 여건으로는 푸틴이 약속한 강한 러시아 건설은 한낱 구호에 그칠수 있다.
코트라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푸틴은 러시아 경제에 있어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인 자원 의존형 경제를 탈피하기 위한 조치를 확대 하는등 보다 강력한 경제 개혁조치들을 추진할 것으로 전망했다. 경제 분야의 체질개선을 위한 외국인 투자유치 활성화에도 적극 나설 것으로 내다봤다.
푸틴의 재집권은 한-러 경제협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할수 있는 호기(好機)임에는 틀림없다. 그중에서도 가장 이목이 집중되는 곳은 극동지역 개발이다.
오는 9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극동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하산과 북한 나진을 잇는 철도 개보수 공사를 마무리 지었고 남-북-러를 잇는 가스관 건설에도 심혈을 쏟고 있다. 이 지역에서 한국과의 긴밀한 협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지난해 양국간 교역이 20% 가량 급증한 230억달러를 돌파하는등 교역규모도 꾸준한 신장세를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푸틴이 외교적으로는 남북한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는 정책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경제정책은 실용주의노선을 택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러시아 경제가 견실한 성장을 지속하는 만큼 우리의 주력 수출품인 자동차, 전기전자, 화학제품 등에 대한 수요가 꾸준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만큼 관련기업들도 현지진출을 위한 대책을 서둘러야 할것이다. 한류 열풍을 바탕으로 양국간 문화 교류도 점차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푸틴은 사회전반에 만연한 부정부패, 선거부정 시비, 민주화 요구등 정치적 악재에 시달리고 있다.그의 재집권 성공 여부가 경제적 성과에 달려 있다고 강조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런점에서 강한 러시아 재건을 위해 실용주의 노선을 추구하는 푸틴의 정책을 잘 활용한다면 한-러 경제협력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