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일본 대지진 1년]엔高…에너지난…日 기업 "한국으로 한국으로"

입력 2012-03-06 16:1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지난해 후쿠시마 대지진 이후 일본기업들이 한국으로 몰리고 있다. 대지진을 통해 자국에서만 생산·서비스를 공급하는 것은 위험이 크다는 점을 인식했기 때문이다.

특히 나날이 치솟는 엔화, 전력 제한 공급, 경기 장기 침체로 인한 수요 부족 등의 문제로 일본 기업들의 채산성이 크게 악화되고 있는 것도 탈일본의 원인중 하나다.

이에 따라 지리적으로 가깝고 반도체·디스플레이·가전·조선·철강 등의 분야에서 유사한 산업구조를 가지고 있는 한국으로의 진출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이는 한국기업의 기술력이 높고 일본에 앞서 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를 체결하면서 한국을 통해 EU 및 해외 시장을 공략하려는 의도도 깔려 있다.

가장 대표적인 기업으로 일본 화학소재 전문업체 도레이는 경북 구미 국가산업단지에 탄소섬유 생산 공장을 짓기로 했다. 사업비 630억원에 연간 생산능력 2200t 규모다. 한국의 탄소섬유 시장 규모가 8000t임을 감안할때 도레이의 생산 규모는 전체의 4분의 1이 넘는다.

우베코산 역시 디스플레이 기반에 사용되고 있는 폴리마이드를 한국에서 생산하기 위해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와 합작 회사를 설립했다. 이 회사는 삼성모일일디스플레이를 통해 자사의 제품을 판매하고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는 재료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소프트뱅크텔레콤은 일본 지진 발생 두달 후 데이터센터의 한국 이전을 결정했다. KT와 합작회사를 설립해 김해에 일본기업 전용 데이터 센터를 만들고 본격 가동중이다.

이같은 현상에 대해 전문가들은 한국기업과의 경쟁과 상생을 통해서 한국시장의 점유율을 높이고 나아가 국제 경쟁력을 높이고자 하는 의도가 깔려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우리 정부도 일본기업의 국내 투자를 최대한 흡수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우선 지식경제부는 일본 기업인 지재권 보호를 위해 국내 특허법·실용신안법을 개정해 오는 6월에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또 각 협회, 지자체, 중앙정부가 합동으로 도쿄, 오사카, 나고야, 후쿠오카 등에서 현지 기업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분야별로 투자설명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지경부는 일본 기업의 대규모 투자유치를 위해 필요하면 일본기업전용공단 조성 등 파격 인센티브 제공도 검토 중이다. 정부는 일본 기업의 해외 진출 가속화로 일본 해외 생산 비율이 오는 2014년 38.5%를 차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중 12.5%는 한국 유치를 기대하고 있다. 일본기업 해외생산분의 3분의 1 정도를 국내로 흡수하겠다는것이 정부의 목표다.

지경부 관계자는 “일본은 현재 엔고, 전력난, 환경문제, 높은 법인세 등 6중고를 겪고 있어 일본 기업은 한국 등 해외 생산기지 투자를 확대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