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열 하나금융 사장 사임 ‘계속되는 후폭풍’

입력 2012-01-13 11:17수정 2012-01-13 14:1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외환銀 M&A 놓고 외압에 희생?

당국 “특혜시비 잠재울 조치 필요” 압박

김승유 회장은 “사퇴 관련 외압 없었다”

김 회장 거취·후계 구도 여전히 '안갯속'

‘포스트 김승유’로 유력하게 거론되던 김종열 하나금융지주 사장이 돌연 사의를 표명한 배경에 대해 금융당국의 압박이 있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외환은행 인수를 위한 백의종군’‘내부 권력다툼의 희생양’ 등 다양한 관측이 나오고 있지만 정부나 금융당국이 하나금융에 대한 모종의 압박 과정에서 빚어진 사태라는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는 것이다. 김승유 회장도 “하나금융 내 내부갈등은 없었다”고 일축했다.

◇보이지 않는 손 있었나= 금융권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해보면 김승유 회장은 최근 정치권의 반대 속에 금융당국이 하나금융의 외환은행 인수 승인을 차일피일 미루고 론스타측에서도 딜이 지체되는 것을 문제 삼자 조바심을 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정부나 금융당국에서 외환은행 인수에 대한 특혜 시비를 없애기 위해서라도 핵심 경영진의 사퇴가 필요하다는 언질을 주었고, 김 회장 대신 김종열 사장이 총대를 멨다는 것이다.

금융권 한 고위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당초 김승유 회장이 물러나도록 압박했고, 이를 전해들은 김 사장이 대신 사의를 표명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김승유 회장은 이같은 외압설을 부인했다. 김 회장은 “금융당국에서 사퇴를 압박하고 있다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고 설명했다.

◇김승유 회장 연임 가닥?= 김 사장이 사의를 표명하면서 가장 큰 관심은 김승유 회장의 거취다. 일단 하나금융 내부적으론 일단 김 회장이 1년 더 연임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외환은행을 인수하면 통합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데 강력한 카리스마를 지닌 김 회장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올해 연임을 한다 하더라도 내년엔 김 회장이 물러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다만 하나금융 후계구도에도 지각변동이 생기게 됐다. 김 사장의 사임과 함께 윤용로 하나금융 부회장과 김정태 하나은행장 등이 일차적으로 ‘포스트 김승유’로 거론되고 있다.

김종열 사장을 재차 중용하는 방안도 시나리오로 제기되고 있다. 김 회장 역시 “아직 사표가 수리되지 않은 만큼 좀 더 두고 보자”며 “외환은행 인수여부가 김 사장의 사의를 거둬들이는 방향으로 가지는 않겠지만 아니라고 말할 수도 없다”고 여운을 남겼다. 외환은행 인수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김 사장의 거취에 변화가 있을 수도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