쉐보레 "말리부 출시전 160만km 시험주행했다"

입력 2011-12-11 10:5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전세계 6개대륙에서 내구 테스트, 22개월 동안 극한 상황서 내구성 테스트

한국GM은 쉐보레(Chevrolet) 중형세단 말리부(Malibu)의 탁월한 핸들링과 정숙성, 안락함, 내구성이 지구-달 왕복거리의 두 배에 이르는 160만km(100만 마일)의 철저한 시험주행으로 완성됐다고 밝혔다.

지난 11월 한국 출시를 기점으로 향후 전세계 100여 개국에 판매될 쉐보레 말리부의 엔지니어링을 담당한 GM 엔지니어들은 22개월간 미국 주행성능시험장은 물론 한국, 미국, 캐나다, 호주, 중국, 영국, 두바이, 독일 등 전세계 6대륙의 고속도로 및 시내도로에서160만 km를 운행하며 말리부의 성능, 안락함, 내구성 및 품질 등을 점검하는 과정을 거쳤다.

GM 글로벌 중형차 개발 수석 엔지니어 마크 무사(Mark Moussa)는 “자동차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다 보면 차에 대해 더 많이 알 수 있다”며 “최고의 성능을 향해 말리부는 작년과 올해 어떤 순간에도 전 세계 어딘가에서 끊임없이 달리고 있었다. 160만km는 실제 도로 위에서 발견할 수 있는 작은 부분에도 관심을 쏟고 최선을 다하고자 하는 우리의 노력이자, 고객에게 신뢰를 전하기 위한 길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말리부의 160만km 장거리 시험주행을 위해 2010년 1분기 이래로 말리부 시험차 170대를 사용, 차 한 대당 매달 평균 7만3000km(4만5450마일)에 이르는 거리를 주행했다. 160만km는 차 한대로 매년 2만4000km(1만5000마일)를 66년 동안 주행하는 거리로 지구에서 달까지 2번 왕복할 수 있는 거리로 전세계 각 시장상황에 맞는 13개 파워트레인의 조합과 수많은 사양의 패키지들을 점검하는 과정을 거쳤다.

아울러 GM은 쉐보레 말리부를 죽음의 계곡이라고도 불리는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데스 밸리(Death Valley)에서 가장 더운 여름철에 에어컨 성능을 검증하고 록키(Rocky) 산 꼭대기에서 고도 테스트, 그리고 동부 노스 캐롤리나의 구불구불한 언덕에서는 시트 안락성과 장시간 주행 요소들을 테스트했다.

또한 서울과 시카고에서는 정지와 출발을 번갈아 계속하는 혼잡 시간대에 수백 km를 시험운전, 동전 수납공간처럼 디테일한 것까지도 평가했다.

한국의 경우 장마철에 집중호우가 내려 도로 표면이 깊게 파이고 물이 흐르기도 하기 때문에 안락함에 영향을 미치는 정숙성과 같은 부분에 변수를 가져올 수 있다.

때문에 이러한 상황에서도 최상의 상태를 만들어 줄 수 있는 최적의 타이어를 찾는 것이 관건. 6개월동안 매주 2,400km를 주행하며 11종의 타이어 테스트 및 제조사들과 타이어 디자인과 성분 조율, GM성능시험장에 한국도로를 반영 시험, 한국시장의 경쟁사 차종 성능 분석 등의 과정을 거쳐 한국에서 최적인 타이어를 찾기도 했다.

말리부는 전 세계 100여 개국에 판매될 쉐보레 첫 글로벌 중형차로서, 1세대 모델이 1964년 판매를 개시한 이래 7세대까지 850만대 이상 판매되며 북미 시장의 대표적인 중형세단의 상징으로 입지를 굳혀왔다. 제8세대 모델로 한국에 첫 출시한 말리부는 카마로와 콜벳에서 영감을 받은 매력적인 외관과 안락하고 정숙한 실내공간, 탁월한 핸들링,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두루 겸비하고 있어 판매에도 많은 기대를 모으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