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준, 3차 양적완화설 ‘모락모락’

입력 2011-10-22 07:3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오퍼레이션 트위스트에 대한 회의론…추가 대책 필요성 제기

미국 연방준비제도(이하 연준)가 3차 양적완화(QE3)를 시행할 것이라는 관측이 피어오르고 있다.

오퍼레이션 트위스트(operation twist)’ 조치가 시장에서 그다지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 못면서 이를 재검토해야 한다고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는 3차 양적 완화조치는 경기 부양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되지만 정치권은 물론 연준 내에서도 반대 목소리가 있어 시행 여부는 섣불리 판단하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돈을 풀어 모기지담보부채권을 매입하는 양적완화를 시행하면 모기지(주택담보대출) 금리가 하락, 주택 구입자들의 부담이 줄고 소비지출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어 경기 회복에 도움이 된다.

미국의 모기지 금리는 지금도 매우 낮은 수준이지만 연준 일부 전문가들은 이를 더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앞서 시행했던 1, 2차 양적완화 조치가 투자심리를 자극해 주식시장도 부양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최근 정부가 주택시장 부양과 주택 소유자들의 채무연장 방안을 찾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검토하면서 연준 내에서도 3차 양적완화 조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다시 나오고 있다.

대니얼 타룰로 연준 이사는 20일 컬럼비아대학에서 열린 콘퍼런스에서 “대규모 채권을 추가 매입하는 조치를 우리가 취할 수 있는 옵션 중에서 가장 윗 선으로 올려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재닛 옐런 연준 부의장도 연준의 3차 양적완화 도입 가능성을 시사했다.

옐런 부의장은 21일(현지시간) 덴버 강연에서 “실업과 금융 혼란의 악영향을 받는 미 경기 부양에 필요하면 3차 양적완화를 도입할 수도 있다”는 인식을 나타냈다.

그는 “사실상의 제로금리 정책을 유지하는 기준으로서 실업률과 인플레율을 정하자는 시카고 연방은행 총재의 제안에 대해 금융 당국은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WSJ는 다만 3차 양적완화 조치의 실행 가능성은 아직 불투명하다고 지적했다.

현재 경제 상황이 3차 양적완화를 실행할만큼 나쁘지 않기 때문이다.

최근 경제지표들을 보면 경제는 다소 개선세를 보이고 있다. 미 노동부가 발표한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신청자 수는 소폭 감소했다.

일부 연준 이사들은 이를 이유로 오는 11월 1~2일 열리는 정례회의에서도 양적 완화 조치를 반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댈러스 연방은행의 리처드 피셔 총재와 나라야나 코첼라코타 미니애폴리스 연방은행 총재, 찰스 플로서 필라델피아 연방은행 총재 등 3인은 연준의 두 차례 양적완화 조치에도 이미 반대했다.

그럼에도 양적완화 지지자들은 11월 회의에서 이 문제를 다시 제기할 것으로 보인다.

타룰로 이사는 지출과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추가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하다면서 일부에서 우려하는 인플레이션 위험은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주택경기 문제가 연준이 집중해야 할 이슈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