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형 아파트 가격 상승세 두드러져...소형 전세주택 공급 '시급'
지난 8월 서울의 전셋값 변동폭이 올해 들어 두번째로 큰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의 전세가격 상승률이 0.5%를 넘은 것은 지난 1월 0.63% 이후 7개월만에 처음이다.
4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의 월간 아파트 전세가격 변동률 조사결과에 따르면 8월 전셋값은 7월보다 서울 0.52%, 수도권 0.58%, 신도시는 0.56%가 각각 올랐다.
월별 전세가격 변동률을 면적별로 구분하면 66㎡(20평형) 이하 소형 아파트의 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지난달 서울지역 66㎡ 이하 아파트의 전셋값 상승률은 0.73%로 올해 들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세대란의 여파가 이어지던 지난 1월 66㎡ 이하 서울 아파트의 상승률(0.66%)보다도 높은 것이다.
같은 기간 69~99㎡와 102~132㎡ 등 중대형 아파트는 각각 0.66%, 0.64%로 소형인 66㎡ 이하보다 낮았고, 1월(각각 0.77%, 0.78%)에 비해서도 덜 올랐다.
수도권과 신도시의 평균 전세시세는 1월(수도권 1.25%, 신도시 1.55%) 등 연초보다 안정된 모습이지만 소형 면적만 따지면 상승곡선이 가파르다는 분석이다.
지난달 66㎡ 이하 아파트 전셋값은 전월 대비 수도권이 0.82%, 신도시가 0.88% 각각 상승했다.
국민은행의 월별 전세가격 조사결과를 봐도 지난달 서울의 전세가격은 7월보다 1.3% 올라 3월(1.4%) 이후 가장 변동폭이 컸다. 8월 전국의 평균 전셋값 상승률은 1.1%로 4월(1.2%) 이후 처음으로 1%를 넘었다.
전셋값이 벌써 요동치는 이유는 부동산 경기침체에 금융시장 불안까지 겹치면서 수요자들이 매매나 월세를 꺼리는 반면 주택 임대인들은 전세보다 월세를 선호하기 때문이다.
또 1~2인 가구 증가와 소형 아파트 인기에도 2000년대 들어 중대형 위주로 신규 분양이 이뤄진 것도 전세난을 부채질 하는 요소다.
전세시세가 심상치 않자 계약기간이 끝나도 가격을 조금 올려 재계약하는 경우가 많고 집주인이 전셋집을 월세나 반전세로 돌리는 사례도 늘어나 새로 전셋집을 알아보는 수요자는 마땅한 집을 찾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결국 오른 전세가격을 감당하기 어려워진 수요자들은 시세가 싼 곳으로 떠나고 있다. 강남에서는 판교, 분당 등 경기 남부의 신도시로 눈을 돌리는 사례가 많고 강북이나 금천구 등 외곽 지역도 인접 수도권 도시로 조금씩 이주하는 양상이다.
한편 정부는 가을 이사철을 앞두고 지난달 18일 전월세 시장 안정을 위한 긴급 대책을 내놨으나 실효성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8·18 정책에서는 전세보다 월세공급을 장려하는 성격이 강하게 드러나기 때문이다.
한 업계관계자는 "주택이 모자라서 전세난이 생긴 게 아니라 소형 전세주택이 모자란 것이 문제인데 정부는 헛발질을 하고 있다"면서 "정부의 공공임대주택 증설과 같은 정책은 태생자체가 월세용인 임대수익상품이어서 전세난 해소에 별 도움이 안 될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