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관리 간 동양건설 판박이 우려도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이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에 들어간 건설사 자금지원을 놓고 신한은행과 우리은행간 갈등이 쉽사리 봉합되지 않고 있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서울 서초구 내곡동 헌인마을 개발사업에서 촉발된 우리은행과 신한은행의 감정싸움으로 법정관리에 들어간 동양건설산업의 데자뷰(기시감)를 떠올리며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지난주 벽산건설 채권단은 벽산건설에 신규 자금을 지원키로 했다. 예정대로라면 지난주까지 자금지원 계획 등 세부안이 마무리됐어야 했다.
22일 현재까지 세부안이 마무리되지 않고 있는 이유에 대해 금융권에서는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과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주단 주채권은행인 신한은행 간 갈등이 컸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두 은행간 갈등이 커진 것은 PF사업장에서 발생한 공사미수금 증가 부문에 대한 채권단의 지원여부다. 우리은행은 PF사업장 대주단 주채권은행인 신한은행과 국민은행이 자금을 먼저 지원한 뒤 일반사업장에서 발생한 필요한 자금을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을 비롯한 채권단이 배분 비율대로 자금을 지원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신한은행은 은행별 지원 규모가 정해지면 실제지원 여부만 결정하면 되는 것이지 순서를 정해서 지원방안을 정하는 것은 잘못됐다는 것이다.
이같은 갈등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앞서 동양건설이 법정관리를 신청했을 당시 신한은행이 주채권은행이지만 PF사업장 대주단은 아니라는 이유로 자금지원에 난색을 표하면서 갈등이 생겼다.
금융권 관계자는 “신한은행은 동양건설의 자금난이 헌인마을 PF에서 촉발된 만큼 PF 채권은행인 우리은행 등이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맞섰다”며 “벽산건설의 경우 두 은행간 입장이 바뀌었을 뿐 변한 것이 없다”고 지적했다. 현재 벽산건설 문제가 동양건설의 데자뷰라는 우려가 나오는 것도 이같은 이유에서다.
이에 대해 신한은행 관계자는 “벽산건설에 대한 자금지원에는 이견이 없다”며 “세부안을 조율 후 지원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도 “기업을 정상화시키기 위해 가능한 모든 지원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