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유치로 '스포츠 외교' 떠오른다

입력 2011-07-08 09:19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강원도 평창이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되면서 '스포츠 외교'가 새로운 외교의 키워드로 떠오르고 있다.

단순히 세계적 초대형 스포츠 이벤트를 국내로 유치했다는 의미를 넘어 대한민국의 국격과 브랜드 가치를 한 차원 높이고 유무형적으로 막대한 국익을 창출해내는 한국 외교의 쾌거로 평가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번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는 스포츠 외교가 지향하는 '총력ㆍ복합외교'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는데 외교가는 주목하고 있다.

대통령에서부터 재벌총수, 스포츠스타, 각 부처 고위관료에 이르기까지 민(民)ㆍ관(官)이 똘똘 뭉쳐 국가적 외교역량의 총합을 극대화하는데 성공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 같은 스포츠 외교가 일궈낸 경제적 파급효과는 실로 막대한 수준이다.

산업연구원은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에 따른 총생산액 유발 효과를 20조4973억원으로 추정했다. 이는 2002년 한ㆍ일 월드컵의 2배 수준이다. 또 부가가치 유발액은 8조7546억원, 고용유발 효과는 23만 명일 것으로 추정됐다.

자동차나 전자제품을 해외에 내다 팔지 않고도 국제적 스포츠 행사를 안방에 유치하는 것만으로 어마어마한 국익이 창출되는 셈이다.

그러나 이번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가 가져온 '눈에 보이지 않는' 효과는 그보다 훨씬 크고 폭도 넓다는 게 외교가의 중론이다. 당장 국가의 브랜드 파워가 수직상승하는 것은 물론 한반도 정세의 최대 위협요인인 북한발(發) 리스크가 '안정 관리'될 수 있는 점은 수치로 환산할 수 없는 무형의 이익으로 평가된다.

대규모 국제행사 유치를 통한 시민의식 고양과 한국문화 홍보를 통한 한류 확산 등 사회적ㆍ문화적 효과도 상당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처럼 스포츠 외교의 '폭발력'이 이번 평창 유치전을 통해 여실히 드러났지만 외교의 현실에서는 그 중요성이 간과되는 측면이 적지 않다는 지적이다.

외교부 내에 스포츠 외교 전문인력이나 스포츠 외교 담당부서가 없는 것이 단적인 예다.

이 때문에 외교가에서는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를 계기로 스포츠 외교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외교부도 나름대로 스포츠 외교를 강화하기 위한 복안을 세워놓고 있다. 신임 외교관 연수 프로그램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스포츠 행정가

양성학교 교육을 포함시켜 스포츠 외교 전문가를 양성하고, 이들을 문화부나 대한체육회 등에 파견해 실무 경험을 쌓게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문화외교국 내에 국제대회 유치와 체육협력 약정 체결, 유관기관과의 정책 조율 등을 담당할 인력을 확대하고, IOC 등 국제 스포츠기구 사무국 고위직과 실무직에 한국인의 진출을 적극 추진하는 방안도 강구되고 있다.

또 동계체육 저개발 지역 청소년을 초청하는 '드림 프로그램'이나 장애인 올림픽 교류 등 우리나라만의 특화된 방법으로 국제 스포츠 발전에 기여하는 활동도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국가적 차원의 관심과 지원이 충실히 뒤따르지 않는 한 스포츠 외교가 제자리를 잡기는 쉽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번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가 일회성 외교전에 그치지 않고 스포츠 외교에 대한 국가적 인식을 새롭게 정립하고 인프라를 구축하는 계기로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외교부 관계자는 8일 "국제사회가 다원화하면서 스포츠 외교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면서 "우리 정부도 이제 스포츠 외교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예산과 인력 등에서 보다 적극적인 투자에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