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통화정책 지속" 추가 양적완화는 외면한 버냉키

입력 2011-06-08 06:28수정 2011-06-08 09:2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ㆍFed) 의장이 고유가와 동일본 대지진과 같은 요인으로 미 경제회복세가 일시적으로 둔화되고 있다면서도 추가 경기부양 조치에 관해서는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았다.

버냉키 의장은 7일(현지시간) 애틀란타에서 열린 행사에 참석한 사전 배포한 연설문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고르지 않은 경기회복세를 북돋우기 위해 양적완화 정책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고용상황이 정상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며 "지속적인 고용창출이 없다면 진정한 의미에서 경기회복이 이뤄졌다고 간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주택시장의 침체를 더딘 경기회복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했다.

지방정부의 재정긴축으로 고용 창출에 충분한 돈 못 쓰는 점도 경기성장을 늦추고 있다고 밝혔다. .

버냉키 의장은 "미국 경제가 여전히 잠재성장률을 밑돌고 있으며 따라서 완화적인 통화정책이 계속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하반기는 그러나 경제 회복세가 속도를 낼 것이라는 낙관론을 펼쳤다.

그는 이어 "일본 지진 영향은 몇달 내에 사라지고 휘발유 가격은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하반기에는 성장세가 다소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과잉유동성에 의한 인플레이션에 관련해 버냉키 의장은 우려스럽지만 일시적인 현상이라는 기존의 입장을 고수했다.

낮은 임금상승률과 안정된 기대 인플레이션률 등을 감안할 때 물가상승 압력이 지속될 가능성은 낮다는 설명이다.

버냉키 의장은 이 같은 경제진단에도 불구하고 3단계 양적완화는 시사하지 않았다.

버냉키 의장은 "경제가 큰 위기를 극복한 뒤 일본 지진에서 상품값 상승 등 여러 역풍을 맞이하고 있으나 통화정책이 만병통치약은 될 수 없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