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엔 해킹…구글 놓고 미국·중국 또 붙었다

입력 2011-06-03 09:38수정 2011-06-03 10:5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중국 "지메일 해킹 연루 주장 날조"…미국, FBI 조사 착수

미국과 중국이 다시 맞붙었다.

발단은 구글의 지메일 해킹 사건이다.

미국의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은 2일(현지시간) 기자회견을 갖고 “우리는 이번 해킹 공격 사태를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면서 “연방수사국(FBI)이 현재 조사에 착수했다”고 말했다.

중국 외교부 훙레이 대변인은 이날 “구글 지메일 해킹에 중국 정부가 연루됐다는 주장은 완전히 날조되고 저의가 있는 것”이라며 “우리는 이를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다”고 강조했다.

훙레이 대변인은 “해킹은 국제적인 문제로 중국도 피해자 중 하나”라며 “우리는 해킹 등 인터넷 범죄에 맞서왔고 이를 단호히 단속하고 있다”고 강조하는 등 구글의 주장에 강력히 반발했다.

미국과 중국은 인터넷 검열과 사이버 보안 문제 등으로 그동안 계속해서 대립했다.

구글은 중국의 검열과 해킹 문제 등에 있어 항상 논란의 중심에 있던 장본인이다.

구글은 지난해 3월 중국 정부의 검열과 해커들의 공격을 비난하고 검색서비스를 본토에서 철수했다. 현재는 홍콩에서 우회 접속하고 있는 상태다.

당시 중국 정부는 “구글이 중국법을 따르기로 해 놓고 약속을 어겼다”면서 구글을 맹비난했고 미국 정부 역시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미 국방부의 움직임을 감안할 때 이번 사태의 파장이 예상보다 커질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미 국방부는 주요 시설에 대한 사이버공격을 전쟁행위로 간주해 미사일 발사 등 무력대응을 검토한다는 방침을 최근 세웠다.

리슈이성 중국인민해방군(PLA) 군사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이와 관련 “미국은 사이버공격 위험에 대해 경고하는 척 하면서 실질적으로는 자신들이 갖고 있는 유례 없는 군사적 우위를 지속하려 있다”고 비판했다.

앞서 구글은 전일 미국과 한국 등 주요국 정부 관리와 군인, 정치가, 중국 반체제 운동가 등 수백명의 지메일 계정이 중국 산둥성 지난시 출신 해커들의 공격을 받았다고 밝혔다.

구글의 에릭 그로스 보안 담당 이사는 “해킹의 목적은 지메일 사용자의 이메일 내용을 살펴보고 사용자가 받은 메일을 특정 계정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