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국후폭풍] 들끓는 한나라, 청와대도 겨냥

입력 2011-04-28 11:05수정 2011-04-28 11:4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지도부 총사퇴, 비상체제 돌입… MB 출당 전망도

아무도 예상치 못한 결과였다. 2대1 전망은 있었지만 지역별 승패는 확연히 갈렸다. 결국 선거는 ‘흐름’이었다. 누가 앞서 있느냐가 아니라 누가 흐름을 타고 있느냐의 문제였다. 뒤쫓던 이는 이겼고, 쫓기던 이는 졌다. 강원도가 그랬고, 김해가 그랬다.

분당과 강원, 텃밭에서 충격적 패배를 안은 한나라당은 28일 지도부 총사퇴를 단행했다. 비대위 체제 구성이란 강수를 뒀지만 격랑은 끝나지 않았다. 조기전대 개최냐, 비대위 체제 지속이냐를 놓고 격론이 예상되며 조기전대 개최 시 또 다시 계파싸움으로 변질될 수 있다는 우려도 터져 나오고 있다.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이 발발한 것이다.

당 심장부에 꽂힌 칼날은 청와대로 과녁을 옮길 조짐이다. 수직적 당청관계로 인해 당의 독자성이 무너졌고, 이는 정책혼란을 가져와 결국 민심 이반으로 이어졌다는 게 당내 대체적 평가다. 친이계 핵심이었던 수도권의 한 의원은 28일 지도부 사퇴 소식이 전해진 뒤 기자와의 통화에서 “청와대도 책임을 져야 한다. 안상수 체제를 뒤에서 조정한 이들도 엎드려야 한다”며 화살을 청와대와 이재오 특임장관에게로 돌렸고, 소장파의 리더 격인 한 의원은 “더 이상 청와대에 끌려 다녀선 희망이 없다. 나부터 죽게 됨을 (선거가) 여실히 보여줬다”고 말했다. 심지어 리처치뷰 안일원 대표는 “대통령 출당 요구가 나올 수도 있다”고 극단적 전망까지 내놓았다. 역대 대통령 사례와 신공항백지화 과정에서 대구·경북 의원들을 중심으로 탈당이 거론됐던 점을 상기하면 가능성은 열려 있다.

청와대는 이르면 이번 주말 개각을 단행, 국정 분위기를 쇄신할 것으로 알려졌지만 개각만으로 모든 책임을 회피하긴 어려워 보인다. 당장 임태희 비서실장 책임론부터 등장할 기세다. 본인의 부인에도 불구하고 임 실장이 강재섭 후보의 후원자였다는 게 당내 공통된 평가다. 여권 핵심관계자는 “임 실장 겨냥의 속내는 핵심 실세들 간 파워게임”이라고 말했다. 영남권 한 의원은 “강재섭 후보를 누더기로 만든 게 누구냐. 지금은 서로 총을 겨눌 때가 아니라 자숙할 때”라고 밝히기도 했다.

격랑 속에 빠진 여권과는 달리 민주당은 손학규 체제를 공고히 하며 정국 주도권을 틀어쥐겠다는 계획이다. 반격의 기회를 주지 말고 거세게 몰아야 한다는 주장도 만만치 않아 내년 총선과 대선까지 여야 대결은 끊이지 않을 전망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