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외환銀에 왜 경고공문 보냈나

입력 2011-04-22 11:00수정 2011-04-22 11:1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저축銀 악몽' 재현 사전 차단

금융감독당국이 외환은행에 내부통제 시스템을 강화하라고 경고 공문을 보내 그 배경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최근 잇따른 금융사고로 금융권에 대한 국민의 신뢰도가 바닥으로 떨어진 상황에서 연이은 집단행동으로 자칫 외환은행발 금융사고가 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이달 초 외환은행에 공문을 보내 금융사고 발생 가능성을 지적했다.

금감원은 공문에서 “최근 대주주의 지분 매각 추진 과정에서 직원들의 업무 소홀과 경영진의 관리 미흡 등이 겹쳐 금융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내부통제 시스템을 점검하고 직원 통제와 교육을 강화하라”고 당부했다. 이어 “금융사고 발생으로 고객 불편을 초래하면 엄중 조치하겠다”고 강조했다.

외환은행이 하나금융지주 인수의 부당성을 알리기 위해 노동조합을 중심으로 전 직원이 돌아가면서 100만번 절을 하는 ‘100만배 투쟁’을 벌이는 등 전국에서 집회와 시위가 계속돼 정상적인 영업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고 우려한 것이다.

실제로 애널리스트의 분석에 따르면 외환은행의 올해 1분기 경영성과나 여러 가지 건전성, 수익성 지표가 나빠진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외환은행의 지난 1분기 순이자이익은 5800억원으로 작년동기대비 1.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익 전망치는 더욱 저조해 지난해 대비 각각 25.6%, 27.2% 줄어든 3094억원, 2314억원에 머물 것으로 분석됐다.

한 외환은행 지점 관계자는 “노조를 중심으로 매각 반대 투쟁이 본격화되면서 일선 지점에서도 사실상 신규 영업은 중지된 상태”라고 말했다.

또 최근 내정된 후임 경영진과 현 경영진의 불안정한 공존으로 사실상 경영공백 상태인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최근 하나금융측에서 윤용로 전 기업은행장을 외환은행장으로 내정했지만 노조의 반발로 손발이 묶여 있는 반변 현 경영진은 새로운 임원진 구성으로 힘을 잃어 사실상 경영공백 상태”라고 평가했다.

한편 금감원은 나머지 전체 은행들에도 ‘금융사고 예방을 위한 유의사항’을 통보했다. 주요 유의사항은 △금융사고 예방관련 자체 점검 △은행장 인감증명서 관리절차 전산화와 표준화 △영업 업무와 후선업무 간 직무분리 엄격 시행 △명령휴가제도와 내부자 고발제도 활성화 △검사부서 전문 인력 확충 등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