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ㆍ기업ㆍ정부 부채 2500조원...GDP 2.2배

입력 2011-04-03 12:57수정 2011-04-03 12:5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5년전보다 1000조 상승..개인부채 900조 돌파

지난해 개인, 기업, 정부 등 경제주체들의 이자부 금융부채가 2500조원을 넘어섰다.

3일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에 따르면 한은의 자금순환표상 개인, 비금융 기업, 정부의 이자부 금융부채는 작년말 현재 2586조2245억원으로 전년(2408조2754억원)보다 7.4% 증가했다.

이는 한은이 변경된 기준으로 관련통계를 집계한 2002년말(1258조6630억원)보다 105.5% 증가하고, 5년 전인 2005년(1515조7494억원)보다 1000조원 가량 늘어난 것으로 지난해 명목 GDP(1172조8034억원)의 2.2배에 달하는 규모다.

이자부 부채란 자금순환표상 부채 항목에서 주식 및 출자지분, 직접투자, 파생금융상품, 상거래신용 등을 제외하고 실제로 이자가 발생하는 부채만 따로 모은 것이다.

경제주체별로는 기업의 이자부 부채가 1281조8392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공기업 부채가 254조6909억원, 민간기업 부채가 1027조1482억원이었다.

개인의 이자부 부채는 전년보다 8.9% 증가한 937조2837억원으로 900조원을 돌파했다. 현재 추세가 이어진다면 올해 안에 1000조원을 넘어설 전망이다. 개인부채는 가계와 민간비영리단체 부채를 합한 것이지만 가계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사회보장기구를 합친 정부 부채는 367조1016억원으로 금액상 가장 적었다.

그러나 경제주체별 부채 증가 속도는 달랐다. 2002년과 비교한 부채 증가율은 정부가 사회복지 지출증가 등에 따라 267.8%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기업(93.7%), 개인(88.6%) 순이었다.

이자부 부채의 급증은 금리 상승기에 한계계층을 중심으로 경제주체들의 이자부담이 크게 늘어나고 금융기관의 건전성을 해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스런 부분이다.

부채 증가율은 2005년 이후 작년만 제외하면 매년 명목 GDP 성장률을 상당한 격차로 앞지를 정도로 높은 상태다.

특히 부동산 담보대출 의존도가 높은 개인은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면 담보가치 하락 등으로 인해 재무상태가 취약해질 수 있고, 일부 공기업 역시 과도한 부채와 채산성 저하로 부채가 위험 수위에 도달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