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용식 “진정한 서민금융으로 거듭나 ‘저축銀=부실’ 악순환 끊겠다”

입력 2011-02-28 11:46수정 2011-02-28 13:2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주용식 저축은행중앙회장 인터뷰

대주주 불법행위ㆍ도덕적 해이 책임 물어야

투명한 지배구조로 고객신뢰 확보 급선무

공동계정 시급 도입ㆍㆍㆍ금융권서 부실 해결해야

서민 비즈니스 개발 등 새로운 영업활로 개척

지난 17일부터 최근까지 저축은행 업계는 혼돈의 시기를 보냈다. 금융감독 당국이 부실 저축은행에 대해 잇단 영업조치로 저축은행들은 이에 따른 대규모 예금인출(뱅크런)을 막기 위해 안간힘을 썼다. 그 중심에는 저축은행중앙회가 있었다. 지난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최대 위기였다. 저축은행중앙회를 중심으로 저축은행과 금융감독 당국은 뱅크런 확산을 막기 위해 사활을 걸었다.

뱅크런 사태가 사실상 종료한 25일 한숨을 돌린 주용식 저축은행중앙회 회장을 만나 업계 현황과 이번 사태에 대한 업계 목소리를 들어봤다. 취임 후 가장 바빴던 한주를 보냈던 주 회장은 먼저 저축은행 업계가 국민과 정부에게 걱정을 끼친 점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했다. 그는 올해를 고비로 저축은행의 경영정상화가 이뤄질 것으로 내다보면서 얘기를 시작했다.

-현재 저축은행 상황은 어떤가?

▲부산저축은행 영업정지로 촉발한 전국적인 예금인출 사태는 종료했다고 볼 수 있다. 예금인출 규모가 지난 21일 5000억원이던 것이 24일 800억원, 25일 오후 2시 기준으로 600억원 정도로 사실상 뱅크런은 종료했다. 순인출 500억원은 평상시 수준이다. 부산지역 예금 인출 규모는 지난 17일 22780억원 보다 6% 수준인 140억원(24일 기준) 정도 급감했다. 광주·전남 지역도 24일 인출금액은 4억원에 불과하며 6개 저축은행 중 3개 은행은 오히려 예금이 증가했다.

-저축은행 부실에 대한 경영진 책임 목소리가 높은데, 어떻게 생각하는지?

▲먼저 저축은행 부실 원인에 대해서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저축은행 부실원인은 다양하다. 금융업권 영역 파괴로 인한 경계 약화와 7등급 이상의 저신용자를 대상으로 하다 보니 영업환경이 열악한 점이 부실의 원인으로 작용했다. 또 자본의 영세성으로 경기변동에 취약하고 거시경제여건 분석능력이 부족해 미래 예측이 쉽지 않은 점도 한 요인이다. 특히 지배구조가 취약해 의사결정 구조가 단순한 점이 저축은행 부실의 한 원인으로 꼽힌다.

현재 감독당국이 대주주에 대한 견제·감시를 강화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저축은행의 경우 대주주의 영향력이 커 서 너 명의 책임경영진이 의사결정을 좌우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의사결정 구조는 신속한 의사 결정이나 자금지원 면에서는 강점이 있다. 하지만 대주주나 경영진의 잘못된 판단으로 의사결정을 왜곡할 경우 문제가 발생한다. 불법행위 발견 시 당연히 대주주나 경영진에 대해 민·형사상 책임을 물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대주주와 경영진의 불법행위와 도덕적 해이를 근절하기 위해서는 전문경영인의 독립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번 부실 저축은행 영업정지로 우량 저축은행과 부실 저축은행이 양분화 할 것 같은데 앞으로 어떻게 진행 할 것으로 보나?

▲지난해까지 저축은행 구분은 대형사(2조원 이상 11개)와 중소형사, 수도권(서울 26개, 인천·경기 24개)과 비수도권으로 나눴다. 최근 저축은행 부실화 문제가 부각하면서 우량 저축은행과 비우량 저축은행으로 양극화하고 있다. 그동안 8·8클럽(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 8% 이상, 고정이하(부실)여신비율 8% 이하)이 사실상 우량저축은행의 기준이었다. 최근 영업정지 시 기준이었던 BIS비율이 국민들에게 우량·비우량 저축은행을 선택하는 기준과 저축은행 경영 마지노선으로 자리 잡는 계기가 될 것 같다. 앞으로 BIS비율 저하 저축은행들은 자본증자 등 건전성 제고로 자구책을 강조할 것 같다. 하지만 자체 정상화가 어려운 저축은행은 시장에 인수·합병(M&A)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아 시장에 의한 자율적 구조조정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번 영업정지로 저축은행들 구조조정이 본격적으로 시작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금융지주사가 인수하는 것에 대해 업계에선 어떻게 보는가?

▲현재 금융지주사 중심으로 적극적으로 저축은행 인수를 밝히고 있어 금융시장 안정에 큰 도움을 줄 것 같다. 특히 금융지주사의 저축은행 인수 현실화 가능성은 높다고 생각한다. 일부에서 금융지주사의 부실 저축은행 인수는 동반부실을 가져올 수 있다는 문제를 제기하고 있지만 그럴 가능성은 아주 낮다. 금융지주사의 자산규모를 볼 때 부실 저축은행의 자산규모는 미미한데다 저축은행 인수 시 초기 비용부담은 있지만 금융지주사의 탄탄한 경영 노하우와 선진화된 경영기법을 가지고 있어 동반부실은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금융지주사 입장에서 저축은행을 인수할 경우 다양한 고객층 확보와 현장·지역 밀착형 영업에서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다. 저축은행 업계도 금융지주사들의 저축은행 인수가 경쟁격화로 이어지기 보다는 선진적 금융기법과 위험관리시스템 도입으로 전체적으로 경쟁을 통한 발전을 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금융지주사의 막대한 자본 투입은 저축은행 부실 확산에 대한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계기가 될 수 있어 긍정적이다.

-하지만 아직 저축은행 부동산 PF 대출 부실에 대한 우려가 큰데, 어떤가?

▲저축은행은 지난 2003년 가계신용대란으로 개인신용 대출의 대부분이 부실화하는 어려움을 겪었다. 당시 이를 만회하기 위해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대출을 중점적으로 취급한 것이 저축은행 부실 원인으로 작용했다. 이렇게 확대된 PF대출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함께 건설·부동산 경기 등 거시경제가 급속히 위축하면서 부실화가 더욱 심화됐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저축은행 PF대출 부실 문제가 지난해 하반기부터 갑자기 커졌다. 현재 전체 저축은행 자산 86조9000억원 중 PF대출은 12조원으로 이중 부실 규모는 3조원 정도다. 연체를 보이고 있는 PF대출은 1조원을 조금 넘고 있어 심각한 수준은 아니지만 저축은행에 부담을 주는 것은 사실이다. 정부가 많이 도와주고 있어 저축은행 경영 안정에 큰 힘이 되어주고 있지만 PF대출 부실의 근본적 해결은 부동산 경기가 나아져야 해결 할 수 있는 문제다.

-저축은행 부실 해소를 위해 예금보험기금 내 공동계정을 설치하는 문제가 이슈로 부각하고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나?

▲부실을 초래한 저축은행 업계를 대표해서 죄송하다는 말부터 먼저 해야 할 것 같다. 염치없는 얘기지만 금융권 부실은 금융권에서 자체 해결해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외부에서도 저축은행 부실문제를 조속히 해결해 타 금융권으로 전이되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원칙적인 공감대가 형성해 있다. 그러므로 조만간 공동계정 설치 문제가 원만히 해결할 것으로 보인다. 저축은행 업계가 현재 너무나 허약해진 상황이어서 외부 도움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번 힘든 과정이 지나가면 저축은행도 경영합리화와 부실방지, 건전성 강화, 서민금융기관으로서 역할 정립 등으로 단계적으로 경영 정상화를 이뤄 이번에 진 빚을 갚을 수 있을 것이다.

-금융당국이 8·8클럽 제도를 전면 수정한다고 한다. 어떤 방식으로 수정해야 한다고 생각하나?

▲8·8클럽 제도는 2006년에 도입한 제도로 그간 금융환경 변화와 건전성 강화 추세 등을 감안해 새로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다만 그동안 저축은행은 이 제도를 기준으로 영업정책을 수립해 왔던 점을 감안해 단계적 손질로 저축은행이 감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수정해 주었으면 좋겠다. 예를 들어 BIS비율 상향조정보다는 동일인에 대한 금액제한 폐지 조정 등 혜택 축소방향이 바람직할 것 같다. 금융감독 당국이 저축은행의 급격한 영업위축과 시장에 주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충분한 시간을 두고 단계적으로 시행할 필요가 있다.

-저축은행 문제와 관련해 당국에 건의하고 싶은 것이 있다면?

▲현재 저축은행은 경영효율화를 통한 영업활로를 모색 중이다. 부동산 업종 중심의 영업 구조 탈피를 위한 영업기반을 재정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은행 등이 접근하기 어려운 서민금융부문에서 중고차 대출, 전세자금 대출, 신용대출, 경락잔금 대출 등 틈새시장 발굴 노력에 힘쓰고 있다. 하지만 저축은행 노력만으로 시장 개척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정부가 서민금융, 지역금융, 중소기업금융 분야에서 영업활로 모색을 위한 규제 완화를 해 줬으면 좋겠다. 구체적으로 영업구역 의무대출비율 완화, 부동산임대업 확대 등이 있다.

-저축은행 경영 정상화는 언제쯤 나타날 것으로 보이나.

▲거시경제 여건과 저축은행 경영상황을 감안할 때 올해가 고비가 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부동산 경기 회복 조짐이 나타나고 있어 PF대출 부실 해소에 큰 희망을 가지고 있다.

-앞으로 저축은행이 살아남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나.

▲이번 예금인출 사태로 금융기관의 생명은 고객의 신뢰라는 것을 뼈저리게 느꼈다. 저축은행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고객 신뢰 회복이 가장 중요하다. 기본에 충실하고 지역 밀착, 지배 구조 투명성 증대로 고객에게 저축은행을 믿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다. 또 저축은행이 서민금융으로서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도록 역할 재정립과 새로운 수익원 개발에 힘쓸 필요가 있다. 서민형 비즈니스 개발로 중소기업 연대강화와 지역밀착형 연구 개발 등으로 새로운 영업활로를 개척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주용식 저축은행중앙회 회장은?

경북고등학교와 육군사관학교 졸업한 후 1982년 재무부 사무관으로 특채됐다 이후 기획재정부 정책홍보관리실 재정기획관, 미합중국대사관 참사관, 대외경제국 외국인력과장, 국제금융국 국장, 기획관리실 기획예산담당관, 대외경제국장을 역임했다. 2009년 8월 저축은행중앙회 제 15대 회장으로 취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