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매각방식 논란 재점화에 민영화 '그림자'

입력 2011-02-08 11:05수정 2011-02-08 11:1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김석동 위원장, 우리투자증권 분리시나리오 밝혀 ...우리금융+산은 글로벌 IB 육성 밑그림

주춤해 있던 우리금융지주 민영화 작업이 또 다른 복병을 만났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우리금융 민영화를 국책금융기관 기능 재편과 맞물려 추진하고 우리투자증권의 분리 매각 가능성도 거론하면서 우리금융 매각방식을 논란이 재점화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김석동 위원장은 지난 6일 자본시장법 시행 2주년을 맞아 가진 인터뷰에서 우리금융 민영화 문제와 관련해 “우리투자증권 분리 논의도 충분히 일어날 수 있다”고 밝혔다. 앞서 김 위원장은 지난달 24일 “(우리금융 민영화에 대해) 머릿속에 생각하는 것이 있다”며 우리금융 민영화를 조속히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시사히기도 했다.

금융시장에선 김 위원장의 발언을 두고 우리금융 민영화 복안이 무엇일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지난해말까지만 해도 정부는 우리금융의 경영권 프리미엄을 감안한 ‘통매각’ 방식에 무게를 둬 왔다.

그러나 우리금융 민영화 추진이 예비입찰 과정에서 무산되면서 매각방식에 대한 수정안 마련이 제기돼 왔다. 당시 우리금융 민영화 중단은 우리금융측 컨소시엄 이탈에 따른 유효경쟁 구도가 성립되지 않았다는 점이 표면적 이유지만 무엇보다 경영권 프리미엄을 포함해 최대 7조원에 달하는 ‘몸값’이 가장 큰 걸림돌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이팔성 우리금융 회장은 최근 국민주 및 블록세일, 희망수량 경쟁 입찰 등을 대안으로 제시하기도 했다.

하지만 최근의 김 위원장의 발언으로 그동안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던 ‘메가뱅크론’ 등 다양한 시나리오가 가능해져 우리금융 민영화 방식을 놓고 논란이 재점화될 가능성이 커졌다.

우선 산은지주, 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의 기능 재편에 따른 함수에 좌지우지될 전망인데, 가장 현실성 있는 대안으로 꼽히는 것은 우리투자증권을 KB금융에 넘기고 증권을 뺀 우리금융을 산은지주로 넘기는 방안이다.

실제로 KB금융 입장에선 비은행 부문, 특히 대형 증권사의 자회사 편입이 절실하다. 게다가 그동안 포스코 등 대기업과 지분맞교환을 추진해 온 KB금융 입장에선 세계적인 프로젝트 파이낸싱을 선점할 수 있는 호기를 잡을 수 있어서다.

정부 입장에서도 우리투자증권을 판 뒤 우리금융을 산은지주에 편입시켜 대형화를 통한 글로벌 IB 육성이 가능해진다. 아니면 두 지주회사를 묶은 뒤 산은지주 민영화를 추진할 수도 있다. 이는 소매금융 점포가 없어 걸림돌이 돼 온 산업은행에도 호재다.

문제는 이같은 매각방식을 추진할 경우 반발이 거셀 수 있다는 점이다. 산은지주가 우리금융을 인수한다면 실질적인 ‘민영화’에선 한발 물러서는 모습이 된다. 우리은행이 산은 지주 산하로 편입된다면 어차피 또 다른 형태의 ‘관치금융’인 셈이다.

우리투자증권을 분리할 경우 우리금융의 가치가 하락한다는 점도 걸림돌이다. 정부가 원하는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란 취지가 퇴색될 수 있다. 과거 전광우 금융위원장 시절 우리투자증권을 분리해 매각하려 했다가 실패한 사례도 있다.

금융권 고위 관계자는 “현실적으로 우리금융을 인수할 만한 뚜렷한 주체가 없다는 점에서 분리매각이 대안이 될 수 있다”면서 “하지만 (김 위원장의 복안은) 우리금융 매각방식 논란을 재점화시켜 장기화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