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선불요금제 가입자 2% 불과…MVNO 도입땐 활성화 가능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 중 2%만 이용하고 있는 선불요금제가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MVNO) 도입으로 활기를 찾을 것으로 보인다.
19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이동전화 선불요금제의 특성을 고려할 때
MVNO 사업 활성화와 무선데이터 서비스 시장의 확대로 국내에서도 선불요금제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최근 이동통신 요금 인하에 적극적인 정부가 선불요금제 확산으로 요금경쟁 촉발을 유도할 것으로 예상했다. 윤두영 KISDI 전문연구원은 “해외에서 MVNO는 선불 이동전화 서비스로 특화돼 상당한 성과를 거뒀다”며 “무선 데이터 전용 서비스에 선불요금제가 혼합돼 시너지를 내면 선불요금제가 크게 활성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선불요금제는 기본료는 없지만 발신통화 요금이 후불보다 비싼 요금제로 요금을 먼저 내 놓고 사용기간 동안 잔액 안에서 전화를 걸 수 있다. 때문에 단기 체류 외국인이나 통화량이 적은 사람들이 선호한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선불요금제가 신용불량으로 정상적인 이동전화 계약을 맺을 수 없었던 사람들이 활용하는 방식이라는 인식이 깔리면서 가입률이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이동전화 선불요금제 가입자 비중은 2%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일본과 함께 가장 낮다. OECD 평균 선불요금제 가입자 비중은 44%로 전 세계 이동전화 단말기의 3분의 2는 선불요금제를 쓰고 있다.
국내에서 선불요금제 비중이 낮은 이유는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기술 방식의 이동전화 서비스가 지배적이라 가입자인증모듈(SIM) 카드 문화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 선불요금제는 SIM카드를 사용하는 유럽식이동전화(GSM)와 광대역부호분할다중접속(WCDMA) 기술 계열에 친화적인 서비스이다.
이동통신 사업자들도 선불요금제의 고객 충성도가 높지 않고 가입자당매출(ARPU) 제고에도 도움이 되지 않아 반기지 않았다. 게다가 국내 이동통신 서비스는 단말기 제조 유통 산업과 긴밀히 연계돼 있어 서비스 자체만으로 시장이 크기 어려운 환경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최근 통신요금 인하 이슈가 불거지면서 선불요금제가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통신요금 인하에 적극적인 정부가 선불요금제 확산에 나서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해 11월 △다양한 충전 방법 △충전금액의 자율적 결정 △충전 금액의 유효기간 확대 등을 담은 선불요금제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제4 이동통신과 이동통신 재판매(MVNO)의 등장도 긍정적이다. 특히 MVNO가 도입되면 선불요금제 등을 통해 요금경쟁 촉발을 유도할 것으로 예상했다. 방통위 관계자는 “저가 휴대폰 소싱이 가능한 MVNO가 선불요금제의 활성화에 기폭제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