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치솟는 식탁물가, 인플레 폭탄 되나

입력 2010-12-01 09:0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채소가격 62% 급등...내년 물가 20% 급등할 수도

중국의 식품물가가 치솟으면서 인플레이션 압박이 고조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투기 세력 단속, 저소득층을 위한 물가보조금 지원과 농업 관련 대출 확대 등 다양한 수단을 동원해 식품 물가 급등을 막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인플레이션 우려를 쉽사리 잠재우지 못하고 있다고 지난 30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중국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 추이 (블룸버그)

중국의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4.8%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고 FT는 전했다. 이는 10월에 기록한 2년래 최고치 4.4%를 넘어서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올해 전체 물가상승률이 정부 목표인 3% 선을 넘을 가능성이 높다면서 중국 정부가 내년 물가 목표를 올해보다 1%포인트 오른 4%로 잡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중국 물가 급등은 식품가격이 이끌고 있다는 평가다.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중국의 18종 채소 평균 소매가격은 지난달 첫 2주에 걸쳐 전년 동기에 비해 62% 급등했다.

중국 베이징과학기술대의 후싱더우 경제학 교수는 “인플레이션은 사회 안정의 적”이라며 “중국 물가상승률이 내년에 10~20%를 기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중국 국무위원들은 중국 전역을 돌며 장바구니 물가 점검에 나섰고 베이징 시 정부 등 지방정부는 저소득층을 위한 물가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

샨시성 지방정부는 대학 식당들이 기존 가격으로 학생들에 음식을 제공할 수 있도록 6000만위안(약 104억원)의 별도 예산을 책정했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는 최근 웹사이트 발표를 통해 “물가 급등의 주범인 투기에 대한 단속 강화가 효과를 보고 있다”면서 “옥수수와 면화, 설탕 등 주요 상품 가격이 떨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옥수수 가격은 2주 전에 비해 6%, 면화는 24%, 설탕은 14% 각각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시민들이 느끼는 체감물가는 정부 발표와 달리 여전히 혹독하다는 평가다.

베이징의 한 채소 판매상은 “올해 물가가 40% 이상 올랐다”고 말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일부 전문가는 중국의 인플레이션은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된 것으로 정부의 대책은 단기적으로 효과를 볼 수 있을 지는 몰라도 장기적으로 물가를 잡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컨설턴시 선눙의 시옹궈성 곡물 애널리스트는 “물가급등은 근본적으로 시장의 공급부족에 기인한 것”이라며 “물가 하락 여지는 크지 않다”고 강조했다.

중국 정부는 오는 10일부터 12일까지 중앙경제공작회의를 열고 물가상승과 유동성 증가에 따른 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중앙경제공작회의는 후진타오 국가주석과 원자바오 총리를 비롯한 중국 최고 지도부와 국영기업 총수들이 모여 내년도 경제정책 기조를 결정하는 중요 행사다.

전문가들은 이번 회의에서 정부가 유동성 관리를 통한 물가 안정을 위해 내년도 은행 신규대출 목표를 올해 7조5000억위안에서 7조 위안 정도로 축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