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앞두고 韓 환율조작국 오명

입력 2010-10-15 14:45수정 2010-10-15 14:47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日, 한국 외환정책 비난

주요 20개국(G20) 서울 정상회의를 앞두고 한국이 환율을 조작하는 주범으로 지목됐다.

일본이 한국을 환율조작국으로 떠밀며 원화 절상 압력을 가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FT는 간 나오토 일본 총리가 전날 중의원 예산위원회에 참석해 작심한 듯 한국의 외환정책을 비난했다고 전했다.

간 총리는 "한국이 자국 통화 가치만을 인위적으로 낮게 유도하는 것은 G20 정신에 어긋난다"면서 "G20 회의에서 글로벌 환율전쟁의 또다른 격돌이 예고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은 당초 G20 회의 의장국으로서 환율전쟁의 중재자 역할을 맡았으나 오히려 이에 휘말리는 양상을 보이며 위상이 크게 실추됐다.

환율 조작국이라는 오명을 벗지 못한다면 중재자 역할을 자임한 우리 정부의 입지가 줄어들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한국은행은 하루에 10억달러(약 1조1150억원)를 투입하는 등 실질적이고 공격적으로 시장에 개입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기도 하다.

FT는 "아시아 통화 가운데 원화가 지난 2008년 리먼브라더스가 붕괴한 이후 유일하게 달러 대비 평가절하됐다"면서 "일본 엔화와 호주 달러 등이 달러 대비 20% 이상 절상된 것과는 대조적"이라고 비판했다.

FT는 이어 "한국 정부가 지난 3달간 G20의 검열을 피하기 위해 8% 정도의 절상을 용인하기도 했지만 G20 회의에 앞서 제기되는 비판으로부터 보호받기에는 역부족"이라면서 한국 정부의 외환시장 개입을 꼬집었다.

일본 당국도 지난달 엔고 현상을 저지하기 위해 글보벌 외환시장에 개입한 바 있어 일본의 한국 비판은 외환정책의 실패에 대한 비난 여론을 한국으로 돌리기 위한 포석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중국의 외환정책에 대한 비난도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중국 정부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의 외환보유액과 무역수지 흑자가 빠르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외환보유액 급증은 중국 당국이 여전히 시장의 위안화 절상 압력에 저항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FT는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