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이 16일 새 국무총리 후보자로 김황식 감사원장을 발탁한 것은 후반기 국정운영 핵심가치인 '공정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발탁은 김태호 전 경남지사가 낙마한 지 18일 만으로 이 대통령은 후임 총리를 인선하면서 공정사회 개념에 적합한 도덕적인 인물을 물색해 왔다.
지난 개각에 등장했던 총리와 장관 몇몇에 대한 도덕성 문제가 불거지자 검증 기준을 강화하고 '모의 청문회'까지 도입한 직후 첫 공직 지명이어서 부담이 더욱 클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특히 올해 62세인 김 원장은 호남(전남 장성) 출신으로 정치적 색깔이 엷고 감사원장에 임명될 때에도 특별한 어려움 없이 국회 인사청문회를 통과했다는 점에서 향후 인사청문 과정도 무난할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게다가 김 원장은 대법관을 지낸 법조인 출신으로서 법조계 내부에서 신망이 높고 1972년 사법시험에 합격한 뒤 정통 법관 코스를 밟아 도덕성과 청렴함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더욱이 지난 2008년 7월 감사원장으로 내정돼 2년 넘게 업무를 수행, 이 대통령과 호흡을 맞추는 데도 어려움이 없어 관리 위주가 될 후반기 국정운영에 적합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이에 당장 민주당을 비롯한 야당은 인사청문 과정에서 총리 적격성 여부에 대해 철저히 검증하겠다는 전제를 달고 있지만 김 원장의 총리 발탁에 대해서는 반대하지 않는 분위기다.
다만 거의 모든 공직을 법조계에서 보냈기 때문에 정치와 경제, 외교, 사회 분야를 아울러 통합·조정해야 하는 총리로서 업무 능력을 발휘할 수 있을지에 대한 우려도 있다.
정치권에서는 '김황식 내각'의 라인업은 집권 후반기를 맞아 이 대통령의 친정체제를 구축하는 동시에 야당과의 대화·타협에도 적극 나서겠다는 이중 포석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권 최대 역점사업인 4대강 사업과 권력구조 개편을 핵심인 개헌 및 선거구제 개편 등 정치개혁 과제를 풀어가는 방식에서 수적 우위를 바탕으로 한 강행이 아닌 소통에 방점이 주어지지 않겠느냐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