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14년까지 중형전기차 양산체계 구축

입력 2010-09-09 11:07수정 2010-09-10 07:1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020년까지 100만대 보급

- 현대차 등 국내 기술로 개발, 1회 충전 시 140km주행

정부는 2014년까지 중형전기차 양산체계를 구축하고 2020년까지 국내 자동차 중 100만대를 전기차로 보급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9일 오전 청와대에서 이명박 대통령, 최경환 지식경제부 장관, 이만의 환경부장관, 양수길 녹색성장위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전기차 출시 및 관계자 격려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공개된 차량은 현대자동차와 국내 부품 대기업 9곳, 중소·중견기업 34곳 등 총 44개가 개발에 참여한 '블루온'(BlueOn).

SK에너지의 배터리와 효성이 개발한 모터, LS산전의 인버터(전기를 모터에 필요한 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 위아의 감속기, 현대모비스의 직류변환장치 등을 기반으로 현대차가 완성했다.

현대차 'i10'을 기반으로 개발된 경승용 전기차 '블루온'은 국산 1호 양산형 고속전기차로, 양산 개념의 전기차로는 일본 미츠비시의 'i-MiEV'에 이어 세계 2번째나, 성능 면에서 일본을 압도한다.

1회 충전으로 140km 주행이 가능하고, 완속·급속 충전시간은 각각 6시간, 25분이다. 모터출력 61kW의 심장을 장착한 블루온의 최고 속도는 시속 130km, 제로백(100km/h 도달시간)은 13.1초다.

미츠비시 'i-MiEV'는 1회 충전 주행거리(130km), 완속·급속 충전시간(7시간, 30분), 모터출력(47wK), 제로백(16.3초) 등으로, 대부분 주요 성능에서 '블루온'에 뒤진다. 차량 크기도 '블루온' (전장 3585mm, 전폭 1595mm, 전고 1540mm)이 'i-MiEV'(3395*1475*1610)보다 크다.

이날 공개된 '블루온'의 국산화율은 90% 수준으로, 올해 말까지 국산화율 100%를 달성할 전망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내에서 '블루온'을 직접 시승하고, 짧은 개발기간에도 불구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전기차를 개발한 업체 및 현장기술자들의 노고를 치하했다.

정부는 지난해 10월 제33차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확정한 '전기자동차산업 활성화방안'에 따라 전기차 양산시기를 2013년에서 2011년으로 2년 앞당긴 바 있다.

한편, 정부는 소형전기차 '블루온' 개발 과정에서 축적된 기술을 중형전기차 개발에 응용·확대, 당초 2017년으로 잡았던 중형 전기차 양산계획을 3년 단축한 2014년으로 앞당기기로 했다.

차량 가격의 절반에 달하는 고가의 배터리 가격과 7시간이 넘는 충전 시간 문제점 해결을 위해서도 적극 나선다.

우선, 배터리 교체형 전기차 개발을 위해 개발 타당성과 경제성 분석을 내년 상반기까지 마치고, 경제적 타당성이 인정될 경우 2012년부터 개발을 추진키로 했다. 정부는 배터리를 1~2분 만에 교환해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 교환소를 육성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전기차의 적극적인 보급에도 나선다. 정부는 2015년 국내 소형차 시장의 10%, 2020년 국내 승용차 시장의 20%를 전기차로 대체해, 2020년까지 총 100만대의 전기차와 220만대의 충전기를 보급한다는 계획이다.

2012년까지 공공기관 전기차 구매를 촉진하기 위해, 동급 가솔린차와 가격차의 50% 수준의 구매보조금을 대당 2000만원 한도 내에서 지원하고, 공공기관이 의무적으로 구매해야 하는 친환경차에 전기차를 포함한다.

또, 시장여건 및 재정상황을 고려해 내년 이후부터 자동차 취·등록 및 운행단계에서 세제혜택을 주는 방안을 검토하고, 이산화탄소 60g/Km 미만 차량에 대해 5000유로를 지급하는 프랑스처럼 온실가스 배출량을 기준으로 보너스를 지급하는 제도 도입도 추진한다.

충전인프라 구축에도 박차를 가한다. 현재 서울, 과천, 인천 등 9개 지역에 16기의 충전시설을 설치한 정부는 2011년 상반기까지 전국단위의 충전인프라 구축 로드맵을 수립, 2020년까지 공공시설, 대형마트, 주차장 등에 충전기 220만대를 설치하도록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2012년까지 환승주차장, 간선도로, 공공주차장 등에 국가 및 지자체가 설치하는 충전시설에 대해 예산을 지원하고, 2013년 이후 민간이 설치하는 충전시설에도 정부 차원에서 지원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