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KISA 등 학.연.관 합동대응반 대책 마련에 고심
정부는 스마트폰을 포함한 모바일 보안 종합대책을 이르면 올 하반기에 마련할 계획이다. 정부는 최근 문자메시지를 발송해 요금을 갈취하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용 문자메시지(SMS) 악성프로그램이 발견되는 등 잇따라 스마트폰 보안 문제가 불거지자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11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따르면, 방송통신위원회와 KISA 등 정부기관과 이동 통신사, 휴대폰 제조업체, 보안업체들이 참여하고 있는 '스마트폰 정보보호 민ㆍ관 합동 대응반'이 매달 정례회의를 통해 보안 대책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하반기에 열리는 '모바일 시큐리티 포럼'에서 이를 구체화 한다는 복안이다.
지난 4월에 출범한 모바일 시큐리티 포럼은 스마트폰 이용활성화 및 보안의 중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학.연.관의 임원급 전문가 30여명이 참여하는 모바일보안 분야 회의체다.
KISA 관계자는 "스마트폰 악성코드가 처음 발견된 지난 4월 수시로 회의를 열어 스마트폰과 관련된 기본적인 보안 문제뿐 아니라 전체적인 모바일 보안 문제점과 대책 등에 대해서도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최근 스마트폰 확산으로 촉발된 모바일 오피스, 무선 인터넷망 증가 등의 환경변화를 고려, 모바일 전 분야를 커버하는 보안 대책을 마련한다는 것.
또 스마트폰 보안을 위해 방통위가 지난 1월 발표한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10대 정보보안 안전수칙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할 계획이다. 방통위는 지난 1월부터 국내 스마트폰 이용자수가 급증하고 이와 관련된 보안위협 가능성이 제기됨에 따라 스마트폰 정보보호 민ㆍ관 합동대응반을 구성ㆍ운영해 오면서 이용자 10대 안전수칙을 만들어 발표한 바 있다.
한편, 유럽, 중동 등에서 잇따라 스마트폰 보안 문제가 이슈화하면서, 국제적인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탈옥만 하지 않으면 안전하다는 애플의 아이폰은 보안문제로 독일과 프랑스 정부로부터 잇따라 경고를 받았다. 블랙베리는 보안성능 때문에 중동에서 쫓겨나게 생겼고, 안드로이드폰은 보안과 관련한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아 아예 포기 상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스마트폰의 보안문제는 개인의 문제를 넘어 국가적 차원의 정보 유출 문제로 확장될 수 있어 앞으로 각국 정부의 보안과 관련한 스마트폰 제조사들에 대한 압박은 더욱 강해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