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역세권 개발사업 좌초 '위기'

입력 2010-06-25 06:35수정 2010-06-25 06:4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총 사업비 30조원 규모의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좌초 위기에 빠졌다.

시공 주간사인 삼성물산이 코레일에 납부할 토지 중도금을 준공때까지 연기하고, 현행 608%인 용적률도 800%로 올려주는 등 인센티브를 주지 않으면 사업 추진이 불가능하다고 선언했는데 코레일은 "상식적으로 받아들일 수 없는 주장을 하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은 늦어도 다음달 초까지 자금조달 등의 방법이 결론나지 않으면 회사 부도가 불가피할 전망이어서 코레일과 마지막 해법을 놓고 '벼랑끝 대치'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용산역세권 개발사업의 시공 주간사인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지난 22일 열린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이하 드림허브 PFV) 이사회에서 코레일에 납부할 토지중도금을 준공때까지 연기하고, 사업 용적률을 800%로 올려줄 것을 제안했다고 24일 밝혔다.

삼성물산은 이사회에서 코레일에 납부할 토지대금 중 중도금 4조7천억원 전액을 준공때까지 무이자로 연기해주면서 2조원 내외로 추산되고 있는 분납이자와 현가감소분을 면제해달라고 주장했다.

또 서울시에 대해서는 사업성을 높이기 위해 현재 608%인 용적률은 800%로 상향조정하거나 기부채납 비율을 낮춰줄 것, 모든 출자사에 대해서는 각 사별 지분율에 따라 총 2조원을 증자하고 일시적 자금 부족분에 대해서도 출자사가 단기대여 방식으로 1조3000억원을 조달할 것 등을 제안했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글로벌 경제위기와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프로젝트파이낸싱(PF)이 불가능해지면서 돈줄이 꽉 막힌 상태"라며 "이런 방법 외에는 사업 추진이 어렵다는 게 삼성물산을 비롯한 건설 시공 투자회사들의 공통된 견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에 대해 코레일측은 "중도금과 이자를 준공때까지 연기해달라는 것은 상식적으로 비현실적인 제안으로 재고의 가치도 없다"며 반발하고 있다.

코레일 관계자는 "삼성측의 요구는 개발사업의 관행에 맞지 않는 무리한 희망사항"이라며 "현실적인 대안을 내놔야 한다"고 주장했다.

용적률을 200% 가까이 올려주는 것도 특혜 논란으로 확대될 수 있어 서울시가 수용하기가 힘들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이 때문에 건설업계에서는 용산역세권 사업의 좌초가 사실상 '초읽기'에 들어간 것이나 다름없다는 입장이다.

실제 드림허브는 토지대금으로 빌린 8500억원에 대한 ABS 이자로 분기별로 128억원을 납부해야 하는데 추가로 PF를 받지 못하면 3분기(9월)부터는 이자를 내지 못해 부도 위기에 처하게 된다.

금융권으로부터 PF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17개 건설 투자회사의 지급보증이 선행돼야 하지만 모두 거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몇몇 대기업들은 사업에서 발을 빼기 위한 '출구전략'을 수립하고 있다는 소문도 들린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