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형 증권사 몸집 불리기 '쉽지 않네'

입력 2010-03-18 10:11수정 2010-03-18 10:1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새 수익원 창출위해 저축은행 인수 타진...가격놓고 의견 차이 여전

최근 중소형 증권사들이 저축은행 등의 인수를 통해 몸집불리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

하지만 증권사와 저축은행간의 프리미엄 책정 의견차이로 인해 M&A가 쉽게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18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KTB투자증권은 서울저축은행을 사모투자전문회사(PEF)를 통한 인수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저축은행은 자산 1조2000억원 규모로 서울 강남을 중심으로 4개 지점을 운영하고 있다.

부국증권은 경기도 부천에 위치한 삼신저축은행을 인수하기 위해 검토하고 있으며 지난해 푸른2저축은행과의 인수협상이 결렬된 키움증권은 알파에셋자산운용 지분인수를 위해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실사를 진행하고 있다.

키움증권은 자산운용업 진출을 선언했지만 아직 저축은행에 여전히 미련을 갖고 있다.

이처럼 증권사들이 저축은행 인수를 속속 추진하는 이유는 적은 비용으로 오프라인 지점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새로운 수익 모델도 찾을 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증권사가 시중은행이나 보험회사를 인수하기에는 규모가 너무 크다”며 “이를 대신할 저축은행 인수를 성사시킬 경우 주식담보대출 및 주식매입자금 대출 등 새로운 금융서비스 사업에 진출할 수 있게 돼 사업 다각화를 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저축은행을 계열사로 둔 증권사들은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중장기 수익원 확보차원에서 연계 영업을 강화하고 있다.

동부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은 계열 저축은행과 지분투자, 공동점포전략, 공모주 청약자금 대출, 주식매입자금 대출 중개영업 등으로 시너지 강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처럼 저축은행 인수를 통해 증권사들은 다양한 수익원을 마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인수가 쉽지만은 않다.

증권사들은 지난 금융위기 이후 문제점으로 노출된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위험성을 고려해 프리미엄을 낮출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저축은행들은 자체사업 프리미엄을 고려해 높은 가격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키움증권과 푸른2상호저축은행의 인수 협상이 결렬 된 이유도 이와 비슷한 문제였다.

한 M&A 업계 관계자는 “증권사들은 저축은행의 PF부실 위험성을 고려해 프리미엄을 낮춰 줄 것을 요구하고 있지만 저축은행들은 이를 제외한 자체사업 프리미엄만을 책정, 지나치게 높은 가격을 요구하고 있어 쉽게 M&A가 성사되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