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공사, 채탄용 로봇 개발에 박차

입력 2009-08-24 11:5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3년간 30억원 투입...수지개선 400억원 기대

대한석탄공사가 채굴용 로봇개발 계획에 첫 발을 내디뎠다.

대한석탄공사는 한국기계연구원, ㈜하이드로메틱스, ㈜이젠크리쳐, 한국과학기술원(KAIST) 산학협력단,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등과 함께 '지능형 자원개발 로봇' 을 공동으로 개발한다고 24일 밝혔다.

또 학술기관을 제외한 대한석탄공사, 대덕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 한국기계연구원, 하이드로메틱스 등 4개 기관은 대덕연구개발특구지원본부에서 합동으로 양해각서(MOU)를 체결할 계획이다.

로봇개발은 3년에 걸쳐 30억원 정도의 예산이 투자될 예정이다.또 로봇이 현장배치가 되면 생산성이 30% 정도 높아지고 수지 개선 효과도 연간 250억~400억원에 이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현재 석탄이 생산되는 막장은 출입구에서 지하로 2~7km를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1일 작업시간이 4~5시간에 불과하고 채굴이 진전될수록 점점 더 심부화(深部化)가 됨으로써 생산성이 낮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 석탄공사는 채굴용 로봇을 개발하기로 하고 관련 산학기관과 함께 경제성 및 개발효과를 검토해 왔다.

조관일 석탄공사 사장은 "로봇개발은 단순히 채탄용에 머물지 않고 지하자원을 개발하는 극한환경용 원격조정 로봇 등 산업전문 서비스 로봇 개발의 좋은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며 "원천기술의 적용범위는 매우 넓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