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거티브는 NO"…절제된 경쟁만
단일화, 빅텐트도 원천 차단
공약도 비슷, 차별화 無
경선 흥행 실패, 현실되나
더불어민주당이 조용한 대선 경선을 치르고 있다. 비이재명(비명·非明)계 후보들이 '선의의 경쟁'을 강조하며 서로에 대한 언급과 견제를 최대한 자제하는 분위기다.
16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 경선은 '이재명 1강'에 도전하는 2김(김경수·김동연) 구도로 굳혀졌다. 이재명 예비후보의 독주를 막을 '2김'의 집중 견제와 정치적 결합 등에 관심이 쏠리지만 두 후보는 일단 절제된 경쟁에만 집중하고 있다.
아직 경선 초반인 만큼 '단일화' 가능성도 원천 차단했다.
김경수 예비후보는 전날(15일) KBS 라디오에 출연해 '김동연 지사와의 연대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이제 막 시작한 경선"이라며 "지금은 아름다운 경쟁을 하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말했다.
현재 김경수 예비후보는 '견제'보다 '연대'에 무게를 싣고 있다. 경선뿐 아니라 본선, 또 집권 이후에도 민주 정당 계열들이 세력을 합쳐야 한다고 보고 있는데, 이러한 시각이 대권 행보에도 녹아있단 게 정치권 해석이다.
같은 날 김동연 지사 역시 "(지금 이 시점에) 단일화를 논의하는 건 적절치 않다"며 "정치 공학으로 선거판을 이끌어 가는 것을 바라지 않는다"고 했다. 또 네거티브 선거(상대 후보를 비방하는 선거)를 최대한 절제하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외부에서 불어오는 '반명(反이재명) 빅텐트' 바람도 논의 대상에서 아예 제외됐다. '반명 빅텐트'는 지지율 선두를 달리는 이재명 예비후보에 맞서 대선 막판 보수와 중도, 제3지대 세력이 힘을 합쳐 단일 후보를 낼 거란 구상이다.
일각에선 경선 불참을 선언한 비명계 김두관 전 의원과 김부겸 전 국무총리가 '빅텐트'에 합류할 거란 설도 잠시 돌았지만, 두 사람은 모두 참여 가능성을 일축했다.
김두관 전 의원 측은 이날 공지를 통해 "내란 옹호 정당인 국민의힘 후보와 함께 하는 '비명(반명) 빅텐트' 참가 가능성은 없음을 알려 드린다"고 못박았다. 김부겸 전 총리 측도 "제3지대 빅텐트는 금시초문"이라며 "김 전 총리는 민주당원"이라고 불쾌한 감정을 드러냈다.
이런 상황에 각 후보들이 내놓는 정책 마저 서로 엇비슷하단 평가가 나온다.
김경수 예비후보와 김동연 지사는 출마 선언 이후 '지역균형발전 정책'에 큰 부분을 할애해왔다. 그 과정에 두 사람 모두 큰 줄기로 △용산 대통령실 즉각 이전 △세종 행정도시 실현 등을 포함시켰다.
그 외 대통령 임기 단축 개헌이나 기후 경제로의 전환 등도 공통적으로 담겨 아직까진 각 후보를 대표할 차별화된 공약을 찾기 힘들단 시각이 나온다.
또 김경수 예비후보는 전날 자영업자·소상공인 지원을 위해 '1인당 25만원 전 국민 민생지원금' 등을 정책으로 제시했는데, 이 또한 이 예비후보의 역점 사업인 '민생회복지원금'과 닮아 있단 평가가 나오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