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은 최근 삼성전자가 대표이사를 포함한 임원 1000여 명에게 지급하는 성과급 일부를 자사주로 한다는 정책을 공지한 데 대해 “그간 지적된 주주, 이사회, 임직원 사이 얼라인먼트 부재를 해결하기 위한 의미 있는 첫 단추”라고 평가했다.
포럼은 20일 논평을 내고 “삼성전자도 애플, 엔비디아, 알파벳, 아마존같이 개인이 노력하고 회사가 발전하면 장기 주가 상승을 통해 ‘나도 부자가 될 수 있다’는 ‘주식문화(Equity culture)’가 자리 잡으면 한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17일 사내 게시판에 임원에 대한 초과이익성과급(OPI) 일부를 자사주로 지급하는 내용을 공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상무는 성과급의 50% 이상, 부사장은 70% 이상, 사장은 80% 이상의 자사주를 선택해야 한다. 등기임원은 100%다.
포럼은 “포럼은 지난해 10월 삼성전자를 향해 삼성전자 핵심 인력은 글로벌 수요가 많으므로 실리콘밸리에서 보편화된 양도제한조건부주식(RSU) 같은 주식보상 제도를 즉시 도입해 인재 이탈을 막으라고 당시 이사회와 경영진에 주문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주식보상제도 도입을 계기로 바닥에 떨어진 기술 인력 사기를 진작하고 주주가치 제고를 경영의 근간으로 삼아서 과거 권위적인 삼성의 ‘관리문화’를 극복하면 좋겠다”면서도 “아쉬운 점은 핵심 기술 인력 입장에서는 장기 인센티브라고 하기에는 주식 부여 절대금액이 적고 조건도 붙어있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또 “실제 주권 지급은 1년 후에 이뤄지는데 주가가 그 사이 떨어지면 애초 약속한 주식 지급량보다 감소한다는 내용도 수긍하기 어렵다”며 긍정적 관점에서 사기 진작하고 우수직원 이탈 막으려는 실리콘밸리 주식보상 정책과 다른데, 실리콘밸리는 산업 다운 사이클에서 인센티브 총액은 축소될 수 있지만 주가 하락으로 오히려 부여받는 주식 수는 증가한다“고 강조했다.
포럼은 ”언제나 실리콘밸리로 이직이 가능한 삼성전자 S급, A급 기술 인력 입장에서는 절대 보상금액뿐 아니라 주식 보상 규모도 너무 적다“며 ”올해 평균 3억 원 규모 주식 보상을 임원에게 지급하면, 총 2000~4000억 원이 소요될 것“이라고 추산했다.
그러면서 ”삼성전자보다 직원 수가 훨씬 적은 메타는 2022년 17조 원 규모의 회사 주식을 임직원에게 보상으로 나눠줬다“며 ”향후 삼성전자 임원과 핵심 간부 장기 인센티브는 대부분 주식보상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