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중국, 트럼프 2기 행정부 견제…한국ㆍ일본에 유화 행보

입력 2024-12-26 14:5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조태열 장관과 현안 관련 통화
日 외무상 1년 8개월만 中 방문
관영지 “韓中日 경제협력 해야”
中 트럼프 취임 앞둔 전략 행보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둔 가운데 중국이 한국ㆍ일본과 관계 개선 의지를 내비쳤다. 이례적인 유화 행보를 확대하는 한편, 외교ㆍ안보 분야는 물론 경제 분야의 협력을 강조했다. 미국의 새 행정부를 견제하기 위한 전략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조태열 외교장관이 중국 왕이 부장과 통화에서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에서도 ‘한ㆍ중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지속 발전시켜 나간다는 우리 측의 견해를 전달했다. 사진은 지난 2월 취임 직후 왕이 외교부장과 통화 중인 조 장관의 모습. (사진제공 외교부)

26일 중국 관영 영문 매체 글로벌타임스는 논평을 통해 “미국 무역 정책의 불확실성과 무역 보호주의의 부상 속에서 한국ㆍ중국ㆍ일본이 경제ㆍ무역 협력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며 “다자 무역 시스템 수호와 지역 경제 통합 가속화에도 필수”라고 강조했다.

한국의 경영자총협회(경총) 발표를 인용해 미국 보호무역주의도 비판했다. 앞서 경총은 239사 경영진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82%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으로 한국 경제에 부정적 영향이 더 클 것이라고 밝혔다.

글로벌타임스는 이를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는 다른 주요 무역 동반자들과 경제ㆍ무역 협력을 강화하는 데 있을 수 있다”라며 한국과 일본의 경제협력 중요성을 역설했다.

중국 관영 매체의 이런 논조는 이례적이다. 특히 중국 외교 사령탑인 왕이 외교부장이 24~25일 한국과 일본의 외교 책임자와 잇따라 의견을 나눈 이후 나온 메시지여서 더 주목된다.

앞서 왕이 외교부장은 24일 조태열 한국 외교부 장관과 전화 통화를, 이튿날에는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과 대면 회담을 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한 달 앞둔 가운데 미국의 무역보복에 맞서 정책을 견제하는 한편, 출구 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외교부에 따르면 조 장관은 왕이 외교부장과 통화에서 최근 한국 내 상황을 설명했다. 아울러 향후 한ㆍ중 관계 증진방안 등에 대해 의견도 교환했다.

외교부는 “당일 오후 7시부터 약 30분간 이뤄진 통화에서 조 장관은 대통령 권한대행 체제에서도 ‘한ㆍ중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지속 발전시켜 나간다는 한국 정부의 견해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왕 부장 역시 “한ㆍ중 관계의 양호한 흐름이 이어지도록 다양한 분야에서 긴밀히 소통하고 협력해 나가자”고 화답했다.

▲왕이(오른쪽) 중국 외교부장이 25일 베이징에서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과 악수하고 있다. (베이징 AP/뉴시스)

일본과는 그동안 끊어졌던 고위급 외교 당국자 회담이 1년 8개월 만에 열렸다.

니혼게이자이(닛케이)와 요미우리신문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중국을 방문한 이와야 다케시 일본 외무상은 왕이 중국공산당 외교부장과 만나 외교ㆍ방위 분야 현안을 논의했다.

베이징 댜오위타이(釣魚臺) 국빈관에서 열린 이번 회담에서 양측은 안보 분야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재확인했다.

무엇보다 이번 회담에서 일본 측은 그동안 양국의 쟁점이었던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에 대해 강하게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닛케이는 “이와야 외무상이 이번 회담에서 후쿠시마 제1원전 오염수(일본명 처리수)의 해양 방류 이후 중국 정부가 취한 일본산 수산물 수입 금지의 조기 철폐를 요구했다”라고 보도했다.

앞서 일본 언론은 “중국이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내년 상반기 재개하는 방향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다만 중국 외교부는 이날 회담에서도 “계속 점검해야 한다”는 뜻을 고수했다.

일본은 이번 대화에서 중국인에 대한 비자 발급 완화 의사도 밝혔다. 닛케이 보도에 따르면 중국 단체여행 비자의 체류 기간을 현재 15일에서 30일로 연장하고, 중국 부유층에 대해서는 10년간 유효한 개인 관광비자를 신설하는 내용을 포함한 것으로 전해졌다.

글로벌타임스는 “경제적 상호보완성 관점에서 중국·일본·한국 사이에는 막대한 협력 잠재력이 있다”며 “3국은 제조업 영역에서 경쟁 관계인 것처럼 보이지만 각국은 제조업에서 자신만의 강점이 있어 대규모 지역 산업망으로 서로 이익 협력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