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은행, 정기 신용위험평가 실시
고금리 장기화와 업황 부진 등 여파로 올해도 부실징후기업의 숫자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2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채권은행이 올해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한 결과 230개사가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됐다. 전년 231개사 대비 1개사 감소한 규모다. 부실징후기업은 2021년 160개사, 2022년 185개사에서 2023년 231개사로 급증세를 보인 바 있다.
등급별로는 C등급이 100개사, D등급이 130개사로 전년 대비 C등급이 18개사 줄었으나 D등급이 17개사 늘었다. 대기업은 11개사로 2곳이 늘어났고, 중소기업은 219개사로 3곳 줄었다.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작은 D등급이 늘어난 것에 대해 금감원은 경기 회복 지연에 따른 업황 부진, 원가상승 및 고금리 장기화로 일부 한계기업의 경영악화가 심화한 것이라고 짚었다.
부실징후기업 업종별로는 부동산업이 30개사로 가장 많았고, 자동차 21개, 고무·플라스틱, 기계·장비가 각 18개, 도매·중개가 14개로 뒤를 이었다.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은행권 신용공여 규모는 9월 말 기준 1조9000억 원으로 전체 은행권 신용공여의 0.07% 수준으로 집계됐다. 부실징후기업 선정에 따른 은행권 충당금 추가 적립 추정액은 약 2069억 원이다.
금감원은 “부실징후기업이 국내은행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충당금 추가 적립에 따른 국제결제은행(BIS) 비율 변화폭 또한 미미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향후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신속한 워크아웃과 부실 정리를 유도해 경영정상화 지원과 시장 불확실성 해소에 나설 방침이다.
또 부실징후기업은 아니지만 일시적으로 유동성 문제를 겪고 있는 기업들에 대해 신속금융지원, 프리워크아웃 등을 통한 위기극복을 지원하고, 산업통상자원부·중소벤처기업부 등 유관기관 지원을 폭넓게 받도록 은행권이 거래기업에 지원제도를 안내·추천하는 등 공동으로 금융지원을 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