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등급 강등 공포 밀려온다…하반기 회사채 38조 만기 [봇물터진 신용강등①]

입력 2024-06-30 17:30수정 2024-06-30 17:41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재계에 도미노 신용등급 강등이라는 공포의 그림자가 드리웠다. 신용등급이 추락하면 기업은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웃돈(고금리)을 주고 돈을 빌려야 한다. 투자나 인수·합병(M&A)은 뒷전으로 밀리고, 실적까지 나빠지는 악순환에 빠지게 된다.

30일 본지가 국내 신용평가 3사(한국기업평가·한국신용평가·NICE신용평가)의 상반기 국내 기업 장기 신용등급과 전망 평가를 분석한 결과, ‘상승·긍정적’인 곳과 ‘하향·부정적’인 곳은 각각 ‘60곳’과 ‘109곳’으로 집계됐다. 1 이하일 경우 등급하향 우위를 의미하는 상하향배율은 0.5배를 기록했다.

신용등급이 강등된 기업들은 당장 회사채 상환이 걱정이다. 서울채권시장에 따르면 연말까지 기업들이 상환해야 할 선순위 무보증 회사채 만기도래액은 37조3850억 원이다. ‘AA-’ 등급이 5조7800억 원으로 가장 많다. ‘A0’ 등급이 2조3810억원, ‘A+’ 등급 2조2500억 원이다. ‘BBB’ 이하 등급이 상환해야 할 빚은 1조10억 원이다.

시장에서는 양극화의 중심에 있는 ‘A’와 ‘BBB’ 이하 기업들의 금리 부담이 클 것으로 전망한다. 그나마 신용등급 평가라도 받는 곳들은 형편이 낫다. 공모시장에서 시장 수요를 바탕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높은 금리 환경에서 바닥을 드러내는 한계 기업들의 체력이 신용리스크를 불러올 수 있다고 우려한다.

한계기업들은 공모 시장을 통한 자금 조달 대신 사모사채, 기업어음(CP) 등 단기자금에 의존해야 한다. 급전으로 돌려막기를 해야하는 것이다. 한국은행의 ‘2023년 기업경영분석 결과’(조사대상 3만2032곳)를 보면 지난해 국내 기업 10곳 중 4곳이 번 돈으로 이자도 내지 못했다. 2013년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후 역대 최고 수준이다. 고금리와 저성장 영향으로 기업들의 성장성과 수익성이 모두 나빠졌다.

상장사의 부채비율과 대출연체율도 꾸준히 상승세다. 코스피 상장사의 1분기 연결 부채비율은 작년 말보다 2.67%포인트 오른 115.61%였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4월 기업대출 연체율은 0.54%로 3월(0.48%) 대비 0.06%포인트 올랐다. 1년 전(0.39%)과 비교하면 0.15%포인트가 상승한 수준이다.

부실이 기업들의 문제로 끝나면 다행이다. 신용 리스크가 현실화해 자금조달이 어려워지면 기업 투자는 줄 수밖에 없다. 이는 ‘투자위축→고용 감소→소비위축→실적악화’라는 ‘디레버리징 사이클’의 악순환 고리를 만들어 나라 경제까지 흔들 수 있다. 전문가들은 더 늦기 전에 기업 부채관리와 부실기업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