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성모·삼성서울병원도 휴진 유예…세브란스병원 27일부터 휴진

입력 2024-06-26 09:4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빅5’병원 중 3곳 진료 유지

▲24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의료진들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조현호 기자 hyunho@

서울성모병원과 삼성서울병원 교수들이 무기한 휴진을 유예하기로 결정했다. 서울대병원에 이어 대형 의료기관 의료들의 휴진이 철회되면서 의료계의 대정부 투쟁 동력은 떨어지는 양상을 보인다.

26일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성모병원을 비롯한 가톨릭중앙의료원 산하 8개 병원 교수들이 소속된 가톨릭대 의과대학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전날 회의를 열고 무기한 휴진 시작을 유예하기로 결정했다.

비대위에 따르면 21일부터 24일까지 의대 교수를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정부 정책에 항의하기 위한 투쟁에 필요하다는 데는 공감하지만, 그 방식을 바꿔야 한다는 쪽으로 의견이 모였다.

삼성서울병원·강북삼성병원·삼성창원병원을 수련병원으로 둔 성균관대 의과대학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도 25일 온라인 총회를 통해 무기한 휴진을 유예하기로 했다. 비대위 측은 20일부터 24일까지 의대 교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일정 기간 이상 휴진을 추진했을 때 환자들이 겪을 불편과 불안감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돼 휴진 시작을 유예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해당 병원들의 휴진 철회로 서울의 주요 대형병원인 ‘빅5’ 병원 중 3곳이 진료를 유지하게 됐다.

앞서 세브란스병원, 강남세브란스, 용인세브란스병원 교수들이 소속된 연세대 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27일부터 무기한 휴진 돌입을 예고했고, 서울아산병원 교수들이 소속된 울산대 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다음 달 4일부터 일주일간 진료를 중단할 계획이다.

잇따른 의대 교수들의 휴진 유예로 인해 세브란스병원과 서울아산병원 교수들도 진료 유지에 대한 고민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앞서 27일부터 무기한 휴진을 선언했던 대한의사협회(의협)는 29일 예정된 ‘올바른 의료를 위한 특별위원회(올특위)’에서 향후 투쟁 계획을 논의하기로 했다. 임현택 의협 회장은 18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전국의사총궐기대회에서 “27일부터 무기한 휴진하겠다”라고 언급한 바 있다. 당시 발언에 대해 의료계 내부에서도 합의된 내용이 아니라며 논란이 발생했었다.

한편, 의료공백 사태 장기화에 분노한 환자들도 거리에 나선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 한국유방암환우총연합회를 비롯한 환자단체 등은 다음 달 4일 서울 종로구에서 ‘의사 집단휴진 철회 및 재발방지법 제정 촉구 환자 총궐기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