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 들녁경영체회와 협력 정밀농업 실증 확대

입력 2024-06-24 11:13수정 2024-06-24 13:26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정밀농업 실행 농경지 예상·실제 수확량 비교 분석해 정밀농업 고도화

▲대동은 올해 1월 한국들녘경영체중앙연합회와 ‘정밀농업 확산, 보급을 위한 전략적 MOU’를 맺고, 전북 김제, 경기 이천, 전남 장성, 경북 상주의 들녘경영체회 농가를 대상으로 정밀농업 솔루션 실증 및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다. 4월 경북 상주 들녘경영체회 농가를 대상으로 자율작업 트랙터 시연과 정밀농업 교육을 진행하고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대동)

대동은 한국들녘경영체중앙연합회(들녘경영체회)와 데이터 기반의 노지 정밀농업 실증과 자율주행 농기계 보급을 확대한다고 24일 밝혔다.

대동은 올해 1월 들녘경영체회와 ‘정밀농업 확산, 보급을 위한 전략적 MOU’를 맺었다. 이를 기반으로 전북 김제, 경기 이천, 전남 장성, 경북 상주의 들녘경영체회 소속 벼와 논콩 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농작물의 파종, 생육, 수확에 맞춰 정밀농업 솔루션 실증을 통한 고도화 및 보고화를 추진하기로 협의했다.

이와 관련 160개 필지 총 59만5000㎡(약 18만 평) 규모의 농경지를 파종 전에 맵핑하고, 토양 채취로 토질을 분석해 변량 시비 솔루션을 제공한다. 생육 시에는 드론으로 농작물의 생육 상태를 촬영 분석해 최적의 시비(비료살포) 및 방제(농약 살포)를 처방하고, 수확 시기에는 생육 상태에 따른 최적 수확 시기 및 예상 수확량을 진단해 최상급의 농작물 수확량을 극대화한다. 맵핑된 농경지별로 수확량을 알 수 있는 ‘수확량 모니터링 기능’을 채택한 대동 자율작업 콤바인으로 농작물을 수확해 정밀농업 처방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관련 기술을 고도화한다.

현재 4개 지역 대상 농가의 필지별 토양을 채취 및 분석한 데이터로 토양맵을 생성하고, 변량 시비 처방 및 작업을 마무리했다. 자율작업 트랙터 시연과 사용법 교육도 진행해, 현재 농가들은 대동의 자율작업 트랙터로 경운 및 파종 작업을 진행 중이다. 6~8월에는 드론 생육 촬영을 진행해 농작물 생육 상태에 따른 맞춤 시비 및 방제 처방을 하고, 9~10월 최적 수확 시기 예측을 분석한다.

대동은 실증으로 수확량 증대와 농자재와 인건비 등의 생산 비용을 절감해 정밀농업에 대한 농민의 관심도 및 신뢰도를 높일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대동은 2021~2023년까지 3년간 총 23만 평의 벼 재배 농경지에 정밀농업을 실증해, 10a(아르)당 비료 사용량은 8.4% 감소, 수확량은 19.2% 증가시켜 농가 수익성을 향상했다.

이와 함께 정부가 쌀 대체 작물로 보급하며 재배가 폭발적으로 증가한 ‘논콩의 정밀농업화’를 추진해 디지털 농업의 저변을 넓히고자 한다. 논콩 재배면적은 2016년 4422ha(헥타르·1340만 평)에서 2023년 1만8314ha(5540만 평)로 4.1배 확대됐다.

대동은 향후 커넥트 앱에서 정밀농업 농경지 관리 서비스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농가는 정밀농업 추진 현황과 시기별 농작물의 생육 상태를 쉽게 확인하고, 영농 일지도 작성해 데이터 기반의 농업 활동을 진행 수 있다. 2026년까지 농작업 대행 서비스와 정밀농업 솔루션 기능도 추가할 계획이다.

이광욱 대동 플랫폼사업본부장은 “대형 농가 중심의 들녘경영체회와의 실증은 정밀농업을 실제 사용하는 고객 의견과 평가까지 수렴해 기술을 고도화와 보급화하는 좋은 기회라 생각한다”며 “글로벌 농업 환경에 맞춰 미래 농업 기술 개발을 전략적으로 추진해 ‘농업의 AI화’를 이끌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사진제공=대동)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