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 단기적 실적 부진 불가피하지만 중장기 실적 성장세 유효"

입력 2024-06-24 08:4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하이투자증권, 투자의견 '매수'ㆍ목표주가 60만 원 유지

(출처=하이투자증권)

하이투자증권은 24일 삼성SDI에 대해 올해 실적 부진은 피할 수 없지만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중장기 실적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한다며 투자 의견을 '매수', 목표 주가를 60만 원으로 유지했다.

하이투자증권 정원석 연구원은 "동사의 2분기 실적은 매출액 5조1000억 원, 영업이익 3740억 원을 기록하며 낮아진 시장기대치를 소폭 하회할 것으로 전망한다"라며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는 유럽 전기차 수요 둔화와 북미 고객사인 리비안의 판매 부진 영향이 클 것으로 분석한다"라고 전했다.

이어 "다만 원형 전지 고객사들과의 장기공급계약 기반 주문 미달 물량에 대한 보상금 수취 효과 1200~1300억 원(추정)가량이 영업이익에 반영되면서 전 분기 대비 이익 증가세가 뚜렷할 전망이며, 에너지저장장치(ESS)향 중대형 전지는 전력용 배터리박스, 데이터센터용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PS) 공급 프로젝트 대응으로 매출액이 전 분기 대비 약 25% 증가하면서 흑자 전환할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덧붙였다.

정 연구원은 "동사는 전기차향 배터리 매출 의존도가 BMW, 아우디, 리비안 등에 약 70~80% 집중되어 있다"라며 "따라서 최근 독일, 프랑스 등 주요 국가들의 보조금 지원 중단 영향으로 유럽 전기차 수요 둔화세가 뚜렷하고, 리비안의 판매가 부진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하반기 실적에 대한 눈높이 조정이 불가피할 전망이다"라고 설명했다.

더불어 "유럽과 신흥국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을 앞세운 중국 업체들과의 점유율 경쟁이 심화하고 있다"라며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으로 중국 진입을 강하게 제재 중인 북미 시장은 국내 배터리 셀, 소재 업체들에 상당히 우호적이지만 동사의 중대형 배터리 부문 북미 신규 고객사인 GM과 스텔란티스 합작 공장은 2025년부터 가동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향후 국내 배터리 셀 업체들이 중국 업체들과의 경쟁에서 기술적으로 앞서기 위해 2027년 전고체 배터리 양산을 목표로 하는 동사 주가에 대한 밸류에이션 재평가가 발생할 가능성은 충분히 존재한다"라며 "올해 실적 부진은 불가피하겠지만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고객사를 확보하며 중장기 실적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되는 동사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유지한다"라고 의견을 제시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