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ㆍ중, 비공식 핵 대화 5년 만에 재개"

입력 2024-06-21 21:1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3일 대만 북부 신주 공군기지에서 대만 공군 소속 C-130 전술 수송기가 이륙하고 있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 (신주(대만)/로이터연합뉴스)

미국과 중국이 3월 비공식 채널을 통한 핵 대화를 5년 만에 재개한 것으로 전해졌다.

21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로이터는 미국 측 관계자를 인용해 중국 측이 당시 대화에서 대만에 핵을 사용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고 보도했다.

미국과 중국의 핵 대화는 3월 중국 상하이의 한 호텔에서 전직 정부 관계자와 학자 등이 참여한 가운데 진행됐다. 정부 차원의 공식 논의(트랙1)가 아닌 ‘반관반민’(트랙2 혹은 트랙 1.5) 형식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측에서는 전직 관료와 학자 등 6명이 참석했고, 중국 측에서는 전직 인민해방군 장교 출신이 일부 포함된 학자와 분석가들이 자리했다.

미국 측 대표로 회의에 참석한 학자 데이비드 산토로는 "중국은 대만과의 싸움에서 핵무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우위를 점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밝혔다"고 말했다.

해당 회담에서는 중국의 '핵무기 선제 불사용' 정책과 '최소억지 전략'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적이 핵무기를 사용하지 않는 한 먼저 쓰지 않고, 적국의 핵 공격을 억지할 수 있을 정도로 최소한의 전력만 보유한다는 전략이다.

두 전략은 중국의 전통적인 핵전략으로 여겨져 왔지만, 미국은 최근 중국이 핵 보유량을 늘려가는 것을 두고 이 전략들이 여전히 유효한지 의구심을 가져왔다. 미국 국방부에 따르면 중국의 핵무기 보유량은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20% 이상 증가했을 것으로 추산된다.

중국 대표단은 이런 정책들이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고 답했다고 산토로는 전했다.

산토로는 "중국은 핵무기 보유에 있어 미국을 따라잡는 데 관심이 없으며, 아무것도 변한 것이 없는데 미국이 과장하고 있다고 주장했다"고 말했다.

한편 로이터는 미국 국무부 대변인이 핵 대화 사실은 인지하고 있었으며, 트랙2 회담이 공식 회담을 대체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