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 터널 끝이 보인다…온기 감도는 석화업계

입력 2024-06-22 07: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LG화학 석유화학부문, 2분기 흑자전환 전망
롯데케미칼·한화솔루션 케미칼부문 적자폭 축소
중국 수요 회복 국면에 실적 온기
수익성 확보 위한 신사업 발굴에도 속도

▲LG화학 여수 NCC 공장 전경. (사진제공=LG화학)

국내 석유화학 기업들의 2분기 실적에 온기가 감돈다. 최대 수출국인 중국의 경기가 살아나는 가운데, 수익성 확보를 위해 추진한 신사업 효과가 조금씩 나타나고 있다. 불황의 터널에 끝이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22일 금융정보 제공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LG화학의 올해 2분기 예상 영업이익은 4693억 원으로 집계됐다. 직전 분기(2646억 원)보다 77.36% 개선됐다.

특히 석유화학부문의 흑자 전환이 고무적이다. LG화학 석유화학부문은 지난 한 해 1170억 원, 올해 1분기에는 312억 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국내 석유화학 제품의 최대 시장인 중국 경기가 살아난 것이 결정적이다. 중국의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년 동기 대비 1.4% 하락했다. 지난해 6월 가장 큰 하락 폭(-5.4%)을 기록한 이후 1년째 개선세를 보이고 있다. 이런 흐름이라면 7월부터는 상승 전환할 가능성이 크다.

중국 정부가 내수 진작을 위해 추진하는 ‘이구환신’ 정책 효과도 톡톡히 보고 있다. 이구환신은 노후된 자동차나 가전을 교체할 때 혜택을 제공하는 정책이다. 전방 수요가 개선되면서 이들 제품의 소재로 쓰이는 합성수지(ABS)와 합성고무 등의 수익성이 개선되고 있다.

롯데케미칼도 올해 2분기 적자 규모를 줄이고, 3분기에는 450~500억 원의 흑자 전환에 성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2분기에는 461억 원 영업손실이 예상된다.

한화솔루션 케미칼 부문은 지난해 4분기 793억 원 적자에서 올해 1분기 189억 원까지 적자 폭을 줄였고, 이 같은 실적 개선 흐름 속에 3분기에는 흑자 전환에 성공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증설 부담도 내년부터는 본격적으로 완화될 전망이다. 올해 에틸렌 증설 물량 예상치는 500만 톤(t)으로, 최근 3년 대비 절반으로 줄었다. 또 탄소 배출 측면에서 노후화된 생산 설비를 폐쇄할 가능성도 있다. 유진투자증권은 2025~2026년 중국의 화학 설비 폐쇄 규모가 1500만 톤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수익성 확보를 위해 점찍은 신사업 성과도 가시화하고 있다.

우선 LG화학은 양극재 사업이 효자로 거듭날 전망이다. 주 고객인 제너럴모터스(GM)와 합작 파트너인 스텔란티스가 내년까지 신규 전기차 출시를 계획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동욱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신차 출시 효과와 유럽, 중국의 전기차 관련 관세 인상 움직임으로 올해 하반기와 내년으로 갈수록 실적 개선이 전망된다”며 “올해 미국 배터리 시장 점유율 1위 탈환과 북미 양극재 시장 공급 부족도 전망된다”고 말했다.

한화솔루션 태양광 사업도 순항이 예상된다. 미국 조지아주 카터스빌 공장의 모듈 생산이 시작되며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혜택이 늘어날 전망이다. 또 ‘탈중국’ 움직임이 강해지면서 미국 태양광 시장 내 중국산 물량 부담도 점차 줄어들 공산이 크다.

롯데케미칼 역시 미래 신사업 확장에 공을 들이고 있다. 최근 이훈기 롯데케미칼 대표는 유럽 출장길에 올라 롯데인프라셀의 양극박 공장과 롯데케미칼 컴파운딩 공장 등을 둘러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 전무, 김연섭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대표 등과 함께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인터배터리 유럽 2024’ 현장을 찾기도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