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류업의 선순환...일본 상장사 40%, 배당 확대 계획에 가계자산 31조원 증가 기대

입력 2024-06-20 16:52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배당총액, 4년 연속 최대치 경신 전망
저축서 투자 전환 개인투자자도 늘어
“실질 GDP 0.1% 증가 효과 발생”

‘기업 밸류업(기업 가치 제고)’ 프로그램을 시행한 일본에서 상장사들의 배당 규모가 올해도 사상 최대 수준을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여기에 최근 일본 증시에서 개인투자자의 참여도가 높아지면서 가계소득 증가로 이어지는 밸류업의 경제 선순환 효과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20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일본 상장기업 2200곳을 분석한 결과 40%에 해당하는 약 990개사가 내년 3월 마감하는 이번 회계연도에 배당을 늘릴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배당을 확대하는 상장사 수는 전년 대비 7% 증가한 것으로 3년 만에 처음으로 증가세로 전환했다. 배당총액은 전년 대비 8% 증가한 약 18조 엔으로 4년 연속 역대 최대치를 경신할 것으로 전망된다.

일각에서는 역대 최대로 늘어난 배당금이 가계소득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개인 투자자 비중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증권업협회에 따르면 2022년 말 개인 투자자 수는 1489만 명으로 전년 대비 약 32만 명 증가했다. 현재 상장사 주식의 약 20%를 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것을 감안해 세전 기준으로 단순 계산해보면 올해 가계로 돌아가는 배당은 약 3조6000억 엔(약 31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구마노 히데오 다이이치생명 경제연구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18조 엔 규모의 배당이 이뤄질 경우 실질 소비는 5000억 엔,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0.1% 증가하는 효과가 발생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일본 정부가 가계 저축을 투자 시장으로 끌어내기 위해 올해 1월부터 비과세 혜택을 대폭 늘린 ‘신(新)소액투자비과세제도(NISA)’를 시행하면서 개인투자자 수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 그만큼 배당확대 혜택을 누리는 가계가 늘어나는 선순환 구조를 기대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구마노 이코노미스트는 “배당 수익은 주가 상승에 따른 수익보다 소득향상을 피부로 느끼기 쉽다”며 “고령자를 중심으로 소비를 자극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업들이 이처럼 배당을 늘리는 것은 정부와 도쿄증권거래소의 자본효율 개선 요구가 있다. 최근 주요 일본 기업들은 호실적을 기록하고 있는데, 쌓아둔 이익잉여금을 주주 환원으로 돌리지 않으면 자본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일본 상장사(금융 제외)의 지난해 자기자본 비율은 42%로 역대 최대 수준이다. 도쿄증권거래소는 PBR 1배 미만인 기업들에 이를 끌어 올리도록 요구하고 있는데, 기업들은 배당으로 투자자들을 유치해 PBR 개선을 꾀하고 있다고 닛케이는 설명했다.

또 순이익이 줄어드는 기업도 배당 확대에 나서고 있다. 닛케이에 따르면 이번 회계연도에 최종 순이익 감소가 전망되면서도 배당을 확대하기로 한 기업은 약 230개사로 전체 상장사의 4분의 1에 달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