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푸틴과 김정은 밀착, 중국도 우려할 일”

입력 2024-06-19 10:38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역내 더 많은 미군 주둔 촉발할 수도”
“중국 때문에 첨단 기술 이전은 경계할 듯”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 나란히 걷고 있다. 평양/AFP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4년 만에 북한을 찾은 가운데,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밀착 관계가 중국에도 우려할 사안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1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늘어나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은 (아시아) 역내에 더 많은 미군 주둔을 촉발할 수 있고 이는 중국에도 우려스러운 일”이라고 보도했다.

WSJ는 “러시아와 북한이 군사·경제적 협력을 심화하는 것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전쟁을 이어가는 데 도움을 주고 북한에는 기술적 향상을 제공한다”며 “두 권위주의 국가가 점점 더 친밀해지는 것은 중국과 서방에 불안감을 가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푸틴 대통령의 방북으로 양국 외교적 관계도 격상할 것이 유력하다. 전날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궁 보좌관은 “푸틴 대통령의 평양 방문으로 러시아와 북한이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에 체결할 수 있다”며 “협정을 통해 국제정치, 경제, 안보에서 양국 간 협력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렇게 되면 북한은 무기 판매를 통해 외화를 얻고 추가적인 국제 제재를 피하며 정찰 위성 프로그램에 대한 러시아의 지원을 얻을 수도 있다고 WSJ는 짚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북한이 러시아의 무기공장이 되고 있다”고도 지적했다. 닛케이는 “북한은 미국의 군사 위협에 대한 대응을 명목으로 러시아로부터 첨단 무기를 받을 가능성도 있다”며 “성능 높은 지대공 미사일과 방공 레이더를 갖추면 한미일이 운용하는 최신식 스텔스 전투기에 대항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피터 워드 세종연구소 한반도 전략센터 연구위원은 “러시아는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과 관련한 첨단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경계할 것”이라며 “중국처럼 북한의 무기 프로그램 확장을 역내 위협으로 보는 우방국들을 화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도 “러시아는 포탄이나 미사일이 더 필요한 만큼 북한이 더 효과적으로 이것들을 생산하도록 이들에게 기술을 이전해야 할 동기가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