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우리가 살린다" 은행권, K-산업 지원에 총력

입력 2024-06-17 17:20수정 2024-06-17 17:3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역대 최초 시중·지방은행 모두 중형 조선사 RG 발급
수출테크기업 100개사 육성…기업당 최대 100억 원 투입

▲김주현 금융위원장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7일 오전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공동으로 K-조선 수출금융 지원 협약식과 조선기업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5대 시중은행(국민·하나·신한·우리·농협)행장, 4개 정책금융기관(산업은행·기업은행·무역보험공사·수출입은행)기관장, 3개 조선사(HD현대중공업, 대한조선, 케이조선) 대표가 참석했다.

금융당국과 은행권이 글로벌 조선 경쟁에서 국내 업계의 경쟁력 확보와 수출 확대를 지원하기 위해 나섰다. 역대 최초로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이 함께 중형 조선사의 선수금환급보증(RG) 발급에 나서는 등 조선업계에 총 15조 원을 공급키로 한 것이다. 또 해외에 진출하는 중소·중견기업 지원에도 은행들은 힘을 보탰다.

금융위원회와 산업통상자원부는 17일 공동으로 'K-조선 수출금융 지원 협약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행장 △3개 지방은행(BNK경남·광주·BNK부산은행) 행장 △4개 정책금융기관(KDB산업은행·IBK기업은행·무역보험공사·한국수출입은행) 기관장 △3개 조선사(HD현대중공업, 대한조선, 케이조선) 대표가 참석했다.

이날 협약은 최근 조선업계의 수주 호황이 이어지면서 선박 건조 계약에 필수적인 RG 공급 확대가 필요하다는 취지에서 이뤄졌다. 실제 최근 국내 조선산업이 대형사 중심으로 LNG 운반선 등 고부가 선박을 대량 수주하고, 4년치 이상의 일감을 확보하는 등 호조세를 보이면서 조선사의 RG 공급 확대가 필요해졌다.

먼저 5대 시중은행, 3개 지방은행, 기은 등 9개 은행은 무보와 함께 대한조선, 케이조선 등 중형 조선사에 대한 RG 공급 확대를 위해 'K-조선 수출금융 지원 협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9개 은행은 이들 조선사들이 앞서 수주한 선박들의 RG 발급기한에 맞춰 각각 약 3000만 달러, 총 2억6000만 달러 규모의 RG 9건을 지원키로 했다. 이번 지원으로 총 7억 달러 규모(약 1조 원 상당) 선박 9척의 건조가 순조롭게 진행될 예정이다. 무보는 중형 조선사 RG에 대한 특례보증 비율을 기존 85%에서 95%로 확대해 은행의 보증 부담을 기존 15%에서 5%로 낮추기로 했다.

산은도 중형 조선사가 기수주한 선박들에 대해 자체적으로 2억6000만 달러의 RG를 발급할 예정이다. RG 발급에 따라 총 5억7000만 달러(약 7500억 원) 규모의 선박 6척의 건조가 순조롭게 진행될 예정이다. 향후 수주 계약 건에 대해서는 선박 인도 일정에 따라 1억6000만 달러의 RG를 발급할 예정이다.

이미 4년치 일감을 확보한 대형 조선사들에 대해서는 5대 시중은행과 산은, 수은, 기은 등 총 8개 은행이 현대계열 3사(HD현대중공업·현대삼호중공업·현대미포조선)와 삼성중공업에 총 101억 달러(약 14조 원)의 신규 RG 한도를 부여하기로 했다.

▲김주현 금융위원회 위원장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7일 오전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신한은행과 한국무역보험공사의 중소·중견기업 해외진출 활성화 지원 업무협약 체결식에 참석했다.

시중은행은 또 한국무역보험공사와 함께 중소·중견기업 해외 진출에 1조 원을 지원할 방침이다. 이날 신한은행과 한국무역보험공사(무보)가 이같은 내용이 담긴 '중소·중견기업 해외진출 활성화 지원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지난 3월25일 발표한 '2024년 무역보험 지원 확대 방안'의 후속 조치의 하나로, 신한은행은 글로벌 공급망 재편 대응, 새로운 시장 개척 등을 위해 해외에 진출하는 중소·중견기업에 현지 생산설비 구축 자금 등 총 1조원 규모의 수출금융을 우대 지원하게 된다.

무보는 대출자금 보증과 함께 보증료 할인, 타당성 조사 비용 지원 등을 병행한다.

또 양 기관은 기술성·성장성·혁신성 측면에서 수출 잠재력이 높은 수출테크기업 육성을 위해서도 협력하기로 했다. 국내 스타트업, 벤처기업이 스케일업을 통해 글로벌 유니콘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향후 3년 간 100개사를 선정해 맞춤 지원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