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한-우즈벡, 핵심광물·고속철 성과"

입력 2024-06-14 21:33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우즈베키스탄을 국빈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14일(현지시간)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대통령궁 영빈관에서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과 한·우즈베키스탄 정상회담을 마친 뒤 공동언론발표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대통령실은 14일(현지시간) 윤석열 대통령과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의 정상회담에 대해 "핵심광물의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했다"고 말했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이날 오후 타슈켄트에 마련된 프레스센터에서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핵심광물, 화학, 반도체, 기계, 스마트팜, 도시 인프라, 친환경 에너지 등으로 협력 분야를 적시해왔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차장은 "우즈베키스탄에 풍부한 2차전지 소재인 몰리브덴과 반도체 소재인 텅스텐 등 핵심광물의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박춘섭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핵심광물 공급망 협력 파트너십 약정', '지질분야 협력 MOU', '광물생산 플랜트 기술개발 실증고도화 MOU' 등 3건의 계약 체결을 알리며 "리튬, 몰리브덴, 희토류 등 공동 지질 조사에서 탐사, 개발, 정련, 제련에 이르기까지 공급망을 구축했다"고 전했다.

김 차장은 또 "양국이 우즈베키스탄 치르치크시에서 공동 운영하는 희소금속센터 내 시험생산동을 이번에 가동하기 시작해 희소 금속의 안정적 확보와 공급을 위한 기반이 마련됐다"고 강조했다.

또 "대규모 수주 사업에 우리 기업이 진출할 수 있도록 양국 정부가 협력하기로 했다"며 "특히 고속철 차량을 우즈베키스탄으로 수출해 한국형 고속철이 세계시장으로 본격 진출하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덧붙였다.

'특별 전략적동반자관계'도 심화·확대한다. 김 차장은 "우즈베키스탄은 중앙아시아 5개국 중 인구가 가장 많고, 노동력이 가장 풍부하다. 시장도 가장 크다"며 "중앙아시아 국가 중 고려인이 가장 많아 우리와 유대감이 돈독한 만큼 협력 관계를 발전킬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안보 협력과 관련해선 "우즈베키스탄은 1993년 중앙아시아 5개국 간에 비핵지대를 제안하고 논의를 주도한 글로벌 평화를 선도하는 모범국"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북한 문제와 관련해 "우즈베키스탄은 2010년 북한이 천안함을 폭침했을 때 북한 대사관을 폐쇄하는 등 우리 대북정책을 일관적으로 지지했다"며 "또 중앙아시아 5개국간 비핵지대 조약을 제안하고, 2006년 이를 체결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해 역내 평화와 비확산 체제를 선도하는 모범사례가 됐다"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