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대 교수들 17일부터 전면 휴진…“중증·희귀질환 진료 차질 없어”

입력 2024-06-14 17:23수정 2024-06-16 09:35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강희경 비대위원장 “환자들 충분히 헤아리지 못해…교수가 직접 진료 변경”

▲강희경 서울대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대위원장이 14일 서울 종로구 서울의대 융합관 양윤선홀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기자회견에서 휴진 관련 입장을 밝히고 있다. 고이란 기자 photoeran@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14일 오후 서울대 의대 융합관 양윤선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마지막 몸부림으로 전체 휴진을 결의했지만, 중증·희귀질환 환자들께 절망의 소리가 되리란 것을 충분히 헤아리지 못했다. 중증·희귀질환 환자들은 휴진 기간에도 차질 없이 진료가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강희경 비대위원장은 “이번 전체 휴진 기간을 시작으로 서울대병원은 중증·희귀질환 환자 진료에 집중하는 최상급종합병원의 역할에 충실할 것”이라며 “이런 변화로 병원의 수익이 감소한다면 이는 바로 우리나라 현재 수가체계의 문제를 보여주는 것이며, 윤석열 대통령이 약속한 수가체계 개선에 필요한 재정 지원의 규모를 가늠하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대병원 노조인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서울지역지부는 전날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가진 자율성과 특권을 공익을 위해 사용해달라고 주문했다. 강 비대위원장은 “이번 휴진 결정은 더 이상 지속 가능하지 않은 현 의료 사태를 해결하고자 하는, 공익을 위한 것”이라며 “함께 환자를 돌보는 동료로서, 국립대병원 노동자로서, 올바른 의료체계를 만들고자 하는 교수들의 노력에 함께 해달라”고 요청했다.

강 비대위원장은 정부와 대통령실 등 정책 결정권자에 “교수들은 기계가 아니니 더 이상은 어렵다. 약속한 대로 전공의 수련 비용을 국가에서 지원하고 수가체계를 개선해 부당한 노동환경과 허술한 수련환경이 아닌 전문의 중심 교육수련병원으로 만들어달라”면서 “윤 대통령이 약속한 재원을 기획재정부에 반드시 받아내달라. 이 조치가 제대로 실행된 다음에야 비로소 정부는 전공의를 국가의 자산이라 부를 수 있을 것”이라고 당부했다.

비대위는 지속 가능한 의료체계를 만들기 위해 현장을 아는 전문가들과 지속해서 상의하고 협력해야 한다고 정부 측에 요구했다. 강 비대위원장은 “약속한 대로 전공의 수련 비용을 국가에서 지원하고 수가체계를 개선해달라. 또한 ‘상시적 의정협의체’ 구성과 운영을 서둘러 달라”라면서 “1년짜리 의료개혁특별위원회에서 현실성 없는 설익은 정책을 쏟아내는 대신 지속 가능한 의료체계를 만들기 위해 차근차근 상의하고 협력할 수 있게 해달라”고 말했다.

앞서 김영태 서울대병원장은 7일 보도자료를 통해 비대위의 휴진 결정을 재고해달라고 촉구했다. 김 병원장은 “이번 결정이 심각하고 중대한 문제에서 비롯된 것임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다. 그런데도 환자 진료가 중단되지 않길 간곡히 요청한다”고 밝혔다.

강 위원장은 “정부에 항의하는 뜻으로 하는 휴진인 만큼, 병원장이 휴진을 허가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한다”라면서 “진료실을 닫지는 않는다. 직원들이 진료변경을 해줄 수 없다는 언론 보도도 나왔는데 충분히 이해한다. 교수들이 직접 진료변경을 하고 있고, 바쁜 경우 비대위 차원에서 돕고 있다. 당장 진료를 받아야 하는 환자들은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이라고 본다”라고 설명했다.

서울대병원이 휴진하더라도 전공의들이 돌아올 가능성은 크지 않다. 이에 대해 오승원 비대위 홍보팀장은 “아무것도 안 할 수는 없다. 100일이 넘는 기간 동안 정말 많은 것을 했지만, 병원 내 상황은 변하지 않았다”라면서 “절박함이 있었음을 양해해달라. 교수가 남아있지 않을 때까지 견뎌야 하나 해서 휴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끝으로 강 비대위원장은 “밥그릇을 위해 휴진하는 게 아니다. 국민이 하는 기대를 저버리고 휴진하게 돼 죄송하다”라면서 “하지만 불의를 보고 가만히 있는 것이 지식인의 태도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이번 사태를 겪고 나니 파업하고 핍박받았던 화물연대에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 지금은 의사들에게 사직서 수리 금지명령이 내려졌지만, 향후 군인, 소방관들도 비슷한 처리를 당하지 않을까 걱정된다. 가만히 있어야 하는 게 아니라고 판단했다”라고 토로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