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만 원 이하 빚 갚은 서민ㆍ소상공인 286만 명, 신용평점 올랐다

입력 2024-06-16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개인 89%ㆍ개인사업자 65%, 2000만 원 이하 빚 모두 갚아
신용평점 평균 올라…개인 31점ㆍ개인사업자 101점 상승
20대는 40점ㆍ30대는 32점↑…사회초년생 등 재기에 도움
"성실경영 재창업자 지원 '신용정보법 시행령' 개정도 추진"

(자료제공=금융위원회)

2000만 원 이하의 빚을 진 서민ㆍ소상공인 10명 중 약 9명이 지난달까지 빚을 모두 갚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신용평점이 올라 기존에 받은 대출을 더 좋은 금리 조건으로 바꾸거나 새로운 금융거래를 할 수 있게 됐다.

16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전 금융권이 참여한 신속 신용회복 지원조치로 개인ㆍ개인사업자 총 286만8000명이 2000만 원 이하의 소액연체를 모두 갚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액연체가 발생한 개인ㆍ개인사업자 329만4000명 중 87.1%에 달하는 규모다.

앞서 3월 전 금융권은 고금리·고물가로 어려움을 겪는 서민·소상공인이 정상적인 경제생활로 신속히 복귀할 수 있도록 신속 신용회복 지원조치를 시행했다. 지원 대상은 5월 31일까지 2000만 원 이하 연체금액을 전액상환 완료한 개인과 개인사업자였다.

이번 지원으로 소액연체가 발생한 개인 약 298만4000명 중 89.3%에 달하는 약 266만5000명이, 개인사업자 약 31만 중 65.5%인 약 20만3000명이 전액상환을 완료해 신용회복 혜택을 받았다.

(자료제공=금융위원회)

전액상환을 완료한 개인의 신용평점 평균은 5월 말 기준 684점으로 상환 전(653점)보다 31점 상승했다. 이에 따라 보유한 대출을 더 좋은 금리조건으로 변경하거나 신용카드 한도금액 상향이 가능하게 됐다. 신용카드 발급이나 신규대출도 받을 수 있게 됐다. 실제로 5월 말 기준 신용카드를 발급받은 사람은 약 2만6000명, 제1금융권에서 신규로 대출받은 사람은 약 11만3000명이었다.

개인사업자의 경우, 상승 폭이 더 컸다. 같은 기간 신용평점이 624점에서 725점으로 평균 약 101점 상승했다. 제조업이 104점, 도·소매업과 숙박·음식점업 등이 100점, 수리 등 서비스업이 99점을 받는 등 전 업종이 유사한 신용회복 혜택을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로 인해 소상공인, 자영업자들은 신규 금융거래 체결이나 보유 금융상품을 더 유리한 조건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됐다. 지난달 기준 약 8000명이 제1금융권에서 개인사업자대출을 받았다.

(사진제공=금융위원회)

이번 지원으로 특히 청년층이 크게 혜택을 받았다. 신용회복 지원을 받은 개인 중 20대와 30대는 35.2%였다. 40대는 22.7%, 50대는 20.9%, 60대 이상이 21.2%로 집계됐다. 또, 신용평점의 상승 폭은 20대가 40점, 30대가 32점으로 전체 개인의 평균치(31점)를 웃돌았다. 금융당국은 이번 조치가 사회초년생이나 청년의 재기 지원에 더 큰 도움이 된 것으로 분석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앞으로도 고금리·고물가로 어려움을 겪는 서민·소상공인의 금융접근성 제고를 위한 정책 지원을 지속할 계획"이라며 "특히 성실경영 재창업자에 대해 파산정보 등 불이익한 신용정보의 금융권 공유를 제한하는 신용정보법 시행령 개정을 신속히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