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 통화량, 4년 만에 ‘4000조’…“정기예적금 등 안전자산에 집중”

입력 2024-06-14 12:00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한은, 14일 ‘2024년 4월 통화 및 유동’ 발표
M2, 4000조 달성 기간 2000→3000조 약 6년보다 2년 빨라
정기예적금 1695조, 역대 최대…“안전자산으로 자금 몰려”

(한국은행)
시중 통화량이 4000조 원대에 진입했다.

1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4월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4월 광의통화량(M2, 계절조정계열, 평잔)은 4013조 원으로 전월대비 0.4% 증가했다. 2020년 4월(3014조8155억 원)에 3000조 원대에 들어선 이후 이후 4년 만이다. 이는 2014년 7월(2011조 원)에 2000조 원대에 진입한 이후 3000조 원대에 들어서기까지 약 6년 걸린 것과 비교하면 2년 가량 빠르다.

한은 관계자는 “통화량이 증가한 것은 경제규모가 커지면서 생기는 자연스러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4월에는 안전자산 위주로 자금이 몰렸다. M2 금융상품별 증감액(전월대비)을 보면 △정기예적금(10조2000억 원) △시장형상품(7조9000억 원) △수익증권(6조9000억 원) 등은 증가했다. 반면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7조3000억 원) △요구불예금(-2조8000억 원) 등은 감소했다.

특히 정기예적금 잔액은 1695조3486억 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MMF 잔액도 103조1022억 원으로 전월대비 3조 원 가량 늘었다. 2021년 8월(112조5971억 원) 이후 최고치다. 한은은 “정기예적금 증가는 국내외 통화정책 피벗 지연 우려, 중동지역 분쟁 등으로 안전자산 수요가 늘며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주체별로 기업은 요구불예금과 시장형상품 중심으로 18조9000억 원 증가했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는 정기예적금을 중심으로 1조7000억 원 늘었다. 기타금융기관도 시장형상품과 수익증권 중심으로 2조5000억 원 증가했다.

아울러 4월 협의통화(M1) 평잔(계절조정계열 기준)은 1234조8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과 요구불예금이 줄며 전월대비 9조6000억 원 감소했다.

금융기관유동성(Lf, 평잔, 계절조정계열 기준)은 전월보다 10조6000억 원 증가한 반면 광의유동성(L, 말잔)은 전월말대비 30조6000억 원 감소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