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D, 유럽 대중국 관세 부과에도 주가 급등…기업 자체 경쟁력에 주목”

입력 2024-06-14 08:14

  • 작게보기

  • 기본크기

  • 크게보기

▲2016년 4월 25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베이징 국제모터쇼에서 비야디(BYD) 직원들이 회사 로고 옆에 서 있다. (베이징/AP뉴시스)

NH투자증권은 14일 유럽이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추가 관세를 부과했음에도 비야디(BYD) 주가는 급등한 것을 두고 해당 조치가 실적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전망이며, 기업 자체 경쟁력에 주목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유럽연합(EU)은 12일 기존 10%였던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관세를 기업별로 17.4~38.1%포인트(p) 추가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중국 당국과의 협상이 잘 이뤄지지 않으면 7월 4일부터 적용되고, EU 27개 회원국이 승인하면 5년간 시행이 확정된다.

유럽 관세 인상 소식에도 BYD 주가는 홍콩과 본토에서 각각 5.8%, 4.3% 상승했다.

조철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러한 주가 상승은 BYD에 부과된 추가 관세 인상폭이 17.4%p로 지난해 유럽향 자동차 수출 1, 2위 중국 기업 상해자동차(38.1%p)와 길리자동차(20%p) 보다 낮아 오히려 유럽 시장 점유율 확대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산 테슬라에도 21%p의 추가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라며 “BYD는 헝가리 공장 건성르 추진 중이며 유럽 내 두 번째 공장 건설도 계획 중이라 유럽 규제가 BYD 판매량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 연구원은 “유럽의 대중국 관세 부과 이슈는 오래전부터 알려져 관련 우려는 이미 주가에 충분히 반영됐다”며 “우려보다 양호한 관세 부과 발표는 오히려 호재로 작용했다. 외부 규제 노이즈보다 BYD가 확보한 전기차 시장 내 경쟁력과 성장 잠재력에 주목할 것으로 권고한다”고 말했다.

그는 “BYD의 막대한 연구·개발(R&D) 투자는 제품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고 있으며 수직계열화를 통한 원가 절감 효과도 예상보다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며 “5월 글로벌 최고 수준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 진을 출시했고, 6월에는 중국 당국의 L3 자율주행 시범운행 사업자에 선정되는 등 선두 업체와의 기술 격차가 축소됐다”고 부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뉴스
댓글
0 / 300
e스튜디오
많이 본 뉴스
뉴스발전소